![]() |
||
▲ (사진제공 : 단아안청아한의원 마포점) |
밤이 되면 얼굴이 확 달아오르는 ‘야간발한’은 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뿐만 아니라 몸의 열이 제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한의학적 견해에 의하면 갱년기에는 몸 위쪽은 뜨겁고, 아래는 차가운 ‘상열하한’(上熱下寒)의 상태가 나타난다. 얼굴에 열이 오르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은 ‘상열’에 해당하며, 손발이 저리고 자궁이 냉(冷)한 증상은 ‘하한’에 해당한다. 이렇게 체열균형이 깨진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짜증이 나며, 자주 화를 내게 되는 것이다.
옛말에도 머리는 차갑고 발은 따뜻해야 건강한 상태라고 했다. 머리에 열이 난다면 몸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열감기에 걸렸을 때, 몸 속에 염증이 있을 때, 갱년기 증상이 나타날 때가 대표적인 예다.
갱년기 여성의 몸은 아랫목은 뜨겁고, 윗목은 차가운 상태와 비슷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구들장에 금이 갔는데 아무리 불을 때봐야 윗목은 따뜻해지지 않는다. 열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의 위치를 바로잡아야 갱년기 증상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혈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몸 구석구석으로 열이 전달되면, 심장에서 먼 손발은 물론 자궁까지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체열이 몸 속에 고루 퍼져야 오장육부가 제대로 작동하며, 갱년기 증상은 물론 각종 질병도 예방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갱년기 증상은 종류도 다양하고 사람마다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보면 체열의 균형이 깨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체열이 고루 순환하여 제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면 갱년기 증상 완화에 효과를 볼 수 있다.
갱년기에는 얼굴에 열이 몰리는데도 불구하고 한약에 몸을 따뜻하게 만드는 약재를 넣는 것도 체열을 바로잡기 위해서 불부항, 온열요법을 쓰는 경우도 마찬가지 원리이다.
(도움말 : 단아안청아한의원 마포점 김진아 원장)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