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과 관련해 최초의 공식적인 사과가 진행된데 이어 처음으로 피해보상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는 롯데마트가 자체브랜드(PB)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해 폐 손상을 입은 피해자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보상키로 하면서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 관련 업체가 수습 방안을 따로 내놓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 귀추가 주목된다.
김종인 롯데마트 대표는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와 관련, 큰 고통과 슬픔을 겪은 피해자 여러분과 가족 분들께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롯데마트는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를 외주 생산해 2006년 1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PB(유통업계 자체 브랜드) 상품으로 판매한 바 있다.
김 대표는 “2011년 8월 이후 가습기 살균제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피해자가 발생했다는 보도 와중에 ‘공식적으로 명확한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피해여부 확인이 어려웠다’ 등의 이유로 원인 규명과 사태 해결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 점을 사과드린다”며 사건이 알려진 뒤 5년이 넘어서야 뒤늦게 사과와 보상안을 내놓은 데 대해서도 반성의 뜻을 밝혔다.
롯데마트는 앞으로 검찰 수사가 종결되기 전까지 피해보상 전담 조직을 설치하고, 피해 보상이 필요한 분들의 선정 기준과 피해 보상 기준 등을 객관적으로 검토해 피해 보상 재원 마련 등을 준비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검찰 수사결과에 따라 롯데마트 가습기 살균제와 피해 사이 인과 관계가 확인된 피해자와 가족들을 위해 검찰 수사종결시 피해 보상 협의를 바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관계자 소환 등 본격적이고 강도 높은 수사를 추진 중인 가운데 롯데마트가 공식사과와 보상 방침을 밝힘에 따라 옥시레킷벤키어와 홈플러스 등의 향후 행보에도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한편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디닌) 물질이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해당 원료는 2011년 원인 미상의 폐질환으로 임산부와 영·유아 등을 포함한 수 백명이 잇따라 사망한 뒤 진행된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조사 결과 집단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는 롯데마트가 자체브랜드(PB)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해 폐 손상을 입은 피해자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보상키로 하면서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 관련 업체가 수습 방안을 따로 내놓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 귀추가 주목된다.
김종인 롯데마트 대표는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와 관련, 큰 고통과 슬픔을 겪은 피해자 여러분과 가족 분들께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롯데마트는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를 외주 생산해 2006년 1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PB(유통업계 자체 브랜드) 상품으로 판매한 바 있다.
김 대표는 “2011년 8월 이후 가습기 살균제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피해자가 발생했다는 보도 와중에 ‘공식적으로 명확한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피해여부 확인이 어려웠다’ 등의 이유로 원인 규명과 사태 해결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 점을 사과드린다”며 사건이 알려진 뒤 5년이 넘어서야 뒤늦게 사과와 보상안을 내놓은 데 대해서도 반성의 뜻을 밝혔다.
롯데마트는 앞으로 검찰 수사가 종결되기 전까지 피해보상 전담 조직을 설치하고, 피해 보상이 필요한 분들의 선정 기준과 피해 보상 기준 등을 객관적으로 검토해 피해 보상 재원 마련 등을 준비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검찰 수사결과에 따라 롯데마트 가습기 살균제와 피해 사이 인과 관계가 확인된 피해자와 가족들을 위해 검찰 수사종결시 피해 보상 협의를 바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관계자 소환 등 본격적이고 강도 높은 수사를 추진 중인 가운데 롯데마트가 공식사과와 보상 방침을 밝힘에 따라 옥시레킷벤키어와 홈플러스 등의 향후 행보에도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한편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디닌) 물질이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해당 원료는 2011년 원인 미상의 폐질환으로 임산부와 영·유아 등을 포함한 수 백명이 잇따라 사망한 뒤 진행된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조사 결과 집단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