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부터 국무총리까지 평균연봉 5892만원
'맞춤형 복지'복지포인트 합치면 더 늘어나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전체 공무원의 평균 연봉이 5892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전 금액으로, 전체 공무원 범위는 9급부터 국무총리까지다.
정부는 최근 ‘2016년도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을 전년 대비 5.1% 많은 491만원으로 관보에 고시했다.
이에 따르면 공무원 전체의 평균 기준소득월액은 2011년 395만원, 2013년 435만원으로 상승했고 2015년에는 467만원으로 상승한 데 이어 올해는 49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급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9급 1호봉의 세전 급여는 봉급과 각종 수당 등을 합치면 200만원 선인 반면 장관급은 봉급만 1000만원이 넘는다.
기준소득월액이란 매월 공무원연금 기여금(부담액)과 수령액을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소득금액으로, 각 공무원의 월평균 총소득과 거의 일치한다.
올해 기준소득월액은 2015년 1∼12월 근무한 공무원 100만여명(중앙·지방공무원, 헌법기관 공무원)의 세전 연간 총소득 평균을 12로 나눈 값이다. 즉, 491만원에 12를 곱하면 세전 평균 연봉이 나오게 된다.
총소득에는 기본급, 성과급, 각종수당 등 소득세법상 과세소득이 모두 포함된다.
여기다 각종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결제할 수 있는 ‘맞춤형복지’인 복지포인트까지 합치면 실제 공무원의 평균 월소득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무원 복지포인트는 공기업과 기업의 복지포인트와는 다르게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이다.
단 평균 기준소득월액 491만원은 최하위직부터 고위공무원까지 전체 공무원의 세전 총소득을 평균 낸 금액이기 때문에 상당수 일반 공무원의 소득보다는 많다.
'맞춤형 복지'복지포인트 합치면 더 늘어나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전체 공무원의 평균 연봉이 5892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전 금액으로, 전체 공무원 범위는 9급부터 국무총리까지다.
정부는 최근 ‘2016년도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을 전년 대비 5.1% 많은 491만원으로 관보에 고시했다.
이에 따르면 공무원 전체의 평균 기준소득월액은 2011년 395만원, 2013년 435만원으로 상승했고 2015년에는 467만원으로 상승한 데 이어 올해는 49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급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9급 1호봉의 세전 급여는 봉급과 각종 수당 등을 합치면 200만원 선인 반면 장관급은 봉급만 1000만원이 넘는다.
기준소득월액이란 매월 공무원연금 기여금(부담액)과 수령액을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소득금액으로, 각 공무원의 월평균 총소득과 거의 일치한다.
올해 기준소득월액은 2015년 1∼12월 근무한 공무원 100만여명(중앙·지방공무원, 헌법기관 공무원)의 세전 연간 총소득 평균을 12로 나눈 값이다. 즉, 491만원에 12를 곱하면 세전 평균 연봉이 나오게 된다.
총소득에는 기본급, 성과급, 각종수당 등 소득세법상 과세소득이 모두 포함된다.
여기다 각종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결제할 수 있는 ‘맞춤형복지’인 복지포인트까지 합치면 실제 공무원의 평균 월소득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무원 복지포인트는 공기업과 기업의 복지포인트와는 다르게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이다.
단 평균 기준소득월액 491만원은 최하위직부터 고위공무원까지 전체 공무원의 세전 총소득을 평균 낸 금액이기 때문에 상당수 일반 공무원의 소득보다는 많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