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심 좋고 살기 좋은 강화군을 위하여!

    칼럼 / 유호룡 / 2016-05-11 15:06:25
    • 카카오톡 보내기
    ▲ 유호룡 강화군의장
    인천 강화군의회 의장

    얼마 전 신문기사에 우리나라의 5분의 1이 사는 서울 인구가 주택과 상가의 전세난으로 서울을 떠나 가까운 주변 수도권으로 이주하는 경향이 많다고 한다. 이런 현상이 점점 더 심화될 것으로 부동산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으며 인구 유입으로 인한 주변 지역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고 한다.

    살고 싶은 동경의 대상이었던 서울이 이제는 살기가 어려워 떠난다니 격세지감을 느끼면서도 1~2시간 거리에 있는 우리 강화는 과연 얼마나 살기 좋은 고장일까 반문하게 된다.

    과거 강화는 70~80년대 산업화 시대에 “개발이냐 보존이냐”라는 딜레마 중 개발에서 소외되며 본의 아니게 보존을 택(?)하였다. 그 결과 우리군의 많은 인구가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게 되고 지역경제가 침체되면서 생활환경은 낙후되어 살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교통이 발달하고 생활이 풍족해지면서 경제적 여유로움과 더불어 삶의 질에 대한 욕망이 생겨나며 자연과 가까운 쾌적한 주거환경까지 고려하게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를 평가할 때 부(副)인 경제력도 중요하지만 주민에 대한 행복지수(삶의 만족도)에 대한 결과를 많이 반영한다고 하니 OECD 국가 중 하나인 우리나라 역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도 틀린 말은 아니다.

    비록 우리 강화가 도시 지역에 비해 교통, 의료, 복지, 교육, 주거 서비스 등에 있어 조금 불편한 것은 사실이나, 이를 상쇄하고도 남을 행복요소 들이 넘쳐나 살기 좋은 고장이 될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강화를 말할 때 천혜의 자연환경 그리고 반만년의 역사와 문화를 빼놓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세계적으로 다섯 번째 손가락에 꼽힐 정도로 청정함을 자랑하는 천연 갯벌과 생태 자원들, 전국 제1의 생기처(生氣處)인 마니산과 탁 트인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느낄 때면 문학과는 거리가 먼 나 또한 문학적인 필(FEEL)이 충만해 진다.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맑은 공기와 물 또한 천혜의 조건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그런 깨끗한 물과 공기를 머금은 비옥한 땅에는 쌀, 약쑥, 순무, 속노랑고구마 등 강화를 대표하는 수많은 친환경 농산물이 생산되고 한강, 임진강, 예성강이 합류하는 바다에는 새우젓, 밴댕이, 숭어 등 풍부한 어족이 있어 이로 만든 제철 향토음식을 먹게 될 때면 임금의 수라상이 부럽지가 않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선사시대 고인돌부터 삼국시대(고구려) 창건한 우리나라 최고(最古) 전통사찰인 전등사, 고려시대 수도의 상징인 고려궁지, 조선시대부터 근대까지 군사요충지로서 역할을 해온 5진7보53돈대 관방유적까지 발길 닿는 모든 곳이 문화재일 정도로 우리나라 역사 문화가 고스란히 남아 있어 강화 나들길을 통해 역사의 길을 걷고 있노라면 마치 현실의 내가 아닌 역사 속 인물이 되어 걷는 것처럼 상상의 나래가 펼쳐진다.

    그 만큼 우리가 누리는 혜택은 상상 이상으로 강화에 사는 것만으로도 자랑스럽고 심신을 위로받을 수 있으며 수도권과도 가까워 휴양은 물론 살기에도 더없이 좋은 고장이다.

    생활터전으로 최적의 지역 환경 조건을 갖췄다면 더불어 간과하지 말아야 중요한 덕목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사람과의 관계인 '인심(人心)'이다.
    공자는 ‘마을사람들의 인심이 착한 곳이 좋다. 착한 곳을 가려서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랴’ 하였으며, 조선시대 우리나라 지리서인 이중환의 택리지를 보면 살고 싶은 ‘살터’를 마련하는 데 있어 ‘그 지방의 지리(地理), 생리(生利), 아름다운 산과 물과 더불어 인심(人心)을 살피지 않으면 안 된다’고 했을 정도로 인심을 중요하게 여겼다.

    우리나라가 핵가족화, 1인세대로 가족의 행태 및 의미가 변화하는 시대에도 강화가 아직까지 3대 가족이 같이 살고 이웃과 함께하는 전통적인 공동체 의식이 남아 있다는 것은 그 만큼 장점이 될 수 있다.

    우리 강화에 필요한 인심은 시장에서 볼 수 있는 물질적인 “덤”을 말할 수도 있지만, 상대방의 입장에서 귀를 기울이고 배려하는 마음, 이웃에 사랑을 전하고 봉사하는 마음, 갈등과 마찰 없이 모두가 화합할 수 있는 마음 등 누구와도 함께 할 수 있는 훈훈한 사람의 마음 씀씀이이다. 이것이 살고 싶은 고장의 선진 시민이 가져야 할 자질이며 우리군에 꼭 필요한 투자유치와 더불어 지속 가능한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 생각한다.

    우리 강화는 2020년 20만 명의 인구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몇 년동안 6만 7천명의 인구에 멈춰져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무엇보다 우리 강화가 자연을 중시하고 사람이 중심이 되는 고장으로 거듭나 우리 군민들의 안전, 복지, 쾌적한 환경이 보장되며 건강한 우리 가족과 더불어 사는 우리 이웃들이 있어 행복한 전국에서도 제일 살기 좋은 강화가 되길 소망해 본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호룡 유호룡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