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규린 |
새학기의 두근거림은 끝나고 이제는 익숙해진 친구들과 삼삼오오 그룹을 만들어 어울리는 6월, 신학기 시작된 학생들 사이의 기 싸움에서 이제는 학교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몇 년 전만 해도 학교폭력이라 하면 단순 따돌림이나 다툼 정도로 생각하였지만 현재의 학교 폭력은 지능화, 흉포화 되어 학교생활의 적응이 불가능할 정도로 피해자의 마음에 큰 상처를 남기고 학교 폭력 피해학생의 10명중 4~5명은 자살을 생각해 볼 정도로 학교 폭력 문제는 심각해 졌다.
이런 지능화, 흉포화 된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학교전담경찰관이 학교주변 순찰, 가·피해학생에 대하여 1:1 상담을 실시하고 범죄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학교폭력은 학교와 경찰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부터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학부모의 올바른 정보와 지식으로 자녀들에게 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한다.
학교폭력은 무엇보다 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비싼 스마트폰, 운동화 등 고가의 물건을 소지한 채 등교하지 않도록 하는게 좋다. 부모님은 하교 후에 자녀들의 옷이 더렵혀져 있는지, 신체에 상처가 나진 않았는지 자세히 살펴야 한다. 그리고 친구를 놀리고 괴롭히는 행동이 학교 폭력에 해당 된다는 점을 재차 알려주는 것도 학교 폭력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흔히들 “친구가 한번 때리면 너는 두세 번 더 때려” 라고 아이들을 지도하는 것은 부적절한 지도로 잘못된 인식으로 변질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혹시라도 학교 폭력을 당하였거나 목격하였다면 신고하는 것이 절대 부끄러운 일이 아니고 용기 있는 일이라고 알려주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국번 없이 전화 117 및 문자 #0117로 연락하거나 해당 학교선생님과 학교전담경찰관에게 신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경찰에서는 2012년부터 학교폭력전담경찰관 제도를 도입하여 범죄예방교육, 등하교길 캠페인, 학교폭력 신고 접수, 117 신고사건 처리, 학교와의 협력체계 구축 등 다양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우리 모두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학교폭력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대처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 올바르고 건강한 청소년으로 자라 미래의 꿈나무가 되도록 방지해야할 의무는 대한민국의 모든 어른들에게 있다고 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