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파업 주동 182명 징계착수
코레일, 조사 출석요구서 발부
20일까지 최종 업무복귀 명령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철도파업이 장기화 되고 있는 가운데 코레일이 파업 주동자 등에 대한 본격적인 징계 절차를 밟으면서 대량징계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코레일은 파업에 참가한 핵심주동자 182명에 대해 징계에 필요한 사실 조사를 하기 위해 출석요구서를 발부했다고 18일 밝혔다.
코레일 감사기준 시행세칙에는 직원이 4일 이상 무단결근하거나 무단이탈한 경우 파면, 해임, 정직 등 중징계 처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파업은 22일째 이어지고 있다.
인사규정 시행세칙에도 고의로 직장을 이탈한 경우 파면까지 가능하게 돼 있다.
앞서 코레일은 지난 17일자로 불법파업에 참가한 직원에게 오는 20일 자정까지 복귀하라는 최종 업무복귀명령을 발령했다.
홍순만 사장 명의의 이 명령에서 코레일은 “그동안 공사는 10차에 걸쳐 긴급업무복귀 지시를 전 직원에게 공지하고 파업참가 직원들에게 조속히 복귀하도록 지시했지만, 현재까지 불법파업을 멈추지 않고 있다”며 “이에 최종 업무복귀 지시를 발령하니 아직 업무에 복귀하지 않은 직원은 최종복귀시한까지 근무지로 복귀하기 바라며, 복귀하지 않을 경우 인사규정에 따라 중징계 등 엄중 조치된다”고 강조했다.
코레일은 단순가담자가 최종 업무복귀시한을 준수해 복귀하면 최대한 선처할 계획이지만, 복귀시한을 넘길 경우 중징계 등 엄중하게 처리할 방침이다.
이에따라 철도파업이 오는 20일 자정을 넘어서까지 이어질 경우 2013년 철도파업 당시와 같은 대량징계와 형사고발 등 사법처리 사태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코레일, 조사 출석요구서 발부
20일까지 최종 업무복귀 명령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철도파업이 장기화 되고 있는 가운데 코레일이 파업 주동자 등에 대한 본격적인 징계 절차를 밟으면서 대량징계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코레일은 파업에 참가한 핵심주동자 182명에 대해 징계에 필요한 사실 조사를 하기 위해 출석요구서를 발부했다고 18일 밝혔다.
코레일 감사기준 시행세칙에는 직원이 4일 이상 무단결근하거나 무단이탈한 경우 파면, 해임, 정직 등 중징계 처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파업은 22일째 이어지고 있다.
인사규정 시행세칙에도 고의로 직장을 이탈한 경우 파면까지 가능하게 돼 있다.
앞서 코레일은 지난 17일자로 불법파업에 참가한 직원에게 오는 20일 자정까지 복귀하라는 최종 업무복귀명령을 발령했다.
홍순만 사장 명의의 이 명령에서 코레일은 “그동안 공사는 10차에 걸쳐 긴급업무복귀 지시를 전 직원에게 공지하고 파업참가 직원들에게 조속히 복귀하도록 지시했지만, 현재까지 불법파업을 멈추지 않고 있다”며 “이에 최종 업무복귀 지시를 발령하니 아직 업무에 복귀하지 않은 직원은 최종복귀시한까지 근무지로 복귀하기 바라며, 복귀하지 않을 경우 인사규정에 따라 중징계 등 엄중 조치된다”고 강조했다.
코레일은 단순가담자가 최종 업무복귀시한을 준수해 복귀하면 최대한 선처할 계획이지만, 복귀시한을 넘길 경우 중징계 등 엄중하게 처리할 방침이다.
이에따라 철도파업이 오는 20일 자정을 넘어서까지 이어질 경우 2013년 철도파업 당시와 같은 대량징계와 형사고발 등 사법처리 사태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