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과수 감식결과 방호벽 충격으로 타이어 펑크나
2차로 진로변경 전 시속 108km… 제한속도 초과
[시민일보=고수현 기자]경찰이 지난 13일 경부고속도로 부산방면 언양분기점 500m 전방에서 발생한 관광버스 사고 원인을 버스기사의 과속운행 중 무리한 끼어들기로 결론내렸다.
이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식 결과 사고 버스기사가 조사 초기에 사고 원인으로 주장했던 타이어 펑크는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면서다.
타이어가 먼저 터져서 차가 급격히 방향을 바꾼 것이 아니라 버스가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시도하다가 방호벽을 들이받은 충격으로 타이어가 터졌다는 것이다.
울산 울주경찰서는 31일 사고 원인이 당초 버스기사가 주장했던 ‘타이어 펑크’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10명이 사망한 이번 관광버스 사고와 관련해 앞서 구속된 운전자 A씨(48)를 포함, 사고 버스업체 대표이사 B씨(65), 사고 지점 도로 확장공사를 하던 현장소장 C씨(49) 등을 추가 입건하며 모두 4명을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태화관광 대표이사 B씨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위반 혐의로, 사고가 난 고속도로 구간 확장을 시공 중인 현대건설 현장소장 C씨는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각각 불구속 입건됐다.
B씨는 운전면허가 정지된 다른 운전사 D씨(56)에게 약 한달여간 버스 운행을 맡긴 혐의다. D씨는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C씨는 도로 확장공사 구간에 사고 방지를 위한 도로표지판이나 노면표시 등을 부실하게 설치한 혐의다.
경찰은 현대건설 측이 제한속도, 언양분기점 진입 등을 안내하는 표지판이나 노면표시를 사전에 신고한 내용보다 부실하게 설치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도로교통공단이 분석한 결과 사고 버스의 진로 변경 전 속도는 시속 108㎞로 확인됐다. 해당 구간은 도로 확장공사로 제한속도가 시속 80㎞로 과속운행 중이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다만 경찰은 ‘버스기사가 승객 구호 노력 없이 제일 먼저 탈출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
주변 차량 블랙박스 영상으로 버스기사 인상착의, 이동 경로 등을 분석했을 때 최소 6명의 승객이 버스에서 빠져나온 후 버스기사로 보이는 남성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앞서 경찰은 버스기사 A씨를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
2차로 진로변경 전 시속 108km… 제한속도 초과
[시민일보=고수현 기자]경찰이 지난 13일 경부고속도로 부산방면 언양분기점 500m 전방에서 발생한 관광버스 사고 원인을 버스기사의 과속운행 중 무리한 끼어들기로 결론내렸다.
이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식 결과 사고 버스기사가 조사 초기에 사고 원인으로 주장했던 타이어 펑크는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면서다.
타이어가 먼저 터져서 차가 급격히 방향을 바꾼 것이 아니라 버스가 무리하게 끼어들기를 시도하다가 방호벽을 들이받은 충격으로 타이어가 터졌다는 것이다.
울산 울주경찰서는 31일 사고 원인이 당초 버스기사가 주장했던 ‘타이어 펑크’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10명이 사망한 이번 관광버스 사고와 관련해 앞서 구속된 운전자 A씨(48)를 포함, 사고 버스업체 대표이사 B씨(65), 사고 지점 도로 확장공사를 하던 현장소장 C씨(49) 등을 추가 입건하며 모두 4명을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태화관광 대표이사 B씨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위반 혐의로, 사고가 난 고속도로 구간 확장을 시공 중인 현대건설 현장소장 C씨는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각각 불구속 입건됐다.
B씨는 운전면허가 정지된 다른 운전사 D씨(56)에게 약 한달여간 버스 운행을 맡긴 혐의다. D씨는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C씨는 도로 확장공사 구간에 사고 방지를 위한 도로표지판이나 노면표시 등을 부실하게 설치한 혐의다.
경찰은 현대건설 측이 제한속도, 언양분기점 진입 등을 안내하는 표지판이나 노면표시를 사전에 신고한 내용보다 부실하게 설치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도로교통공단이 분석한 결과 사고 버스의 진로 변경 전 속도는 시속 108㎞로 확인됐다. 해당 구간은 도로 확장공사로 제한속도가 시속 80㎞로 과속운행 중이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다만 경찰은 ‘버스기사가 승객 구호 노력 없이 제일 먼저 탈출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
주변 차량 블랙박스 영상으로 버스기사 인상착의, 이동 경로 등을 분석했을 때 최소 6명의 승객이 버스에서 빠져나온 후 버스기사로 보이는 남성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앞서 경찰은 버스기사 A씨를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