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부경찰서 석남지구대 방지현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SNS나 인터넷배너를 비롯해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불법 스포츠도박을 광고하는 것을 목격한 일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광고에 현혹돼 불법 스포츠 도박에 발을 들인다면 큰 낭패를 보게 될 것이다.
불법 도박 사이트의 약 70%가량이 돈만 먹고 도망가는 ‘먹튀’의 경우가 많고, 불법 도박 사이트에는 감사기관이 없기 때문에 업주가 승률조작을 하거나 불법적인 정보로 사용자에게 금전적인 피해를 주어도 이를 찾아낼 수도 신고할 수도 없다.
또한 불법 도박을 한 자에 대한 처벌이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이하의 벌금으로 절대 낮은 처벌 수위가 아니다.
요즘 들어 큰 문제는 최근 들어 청소년의 불법 도박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통의 불법 스포츠 도박 사이트는 온라인을 비롯해 스마트폰으로도 쉽게 접속이 가능하고 가입절차 역시 까다롭지 않게 계좌번호와 휴대전화 번호만 입력하면 되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접근하기가 매우 쉽다.
또한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도박관련 상담자 비율 중 10대 상담자 비율이 2014년도에는 0.4% 2015년도에는 1.6%로 약 4배가량 증가했고,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의 자료에 의하면 불법도박을 하는 사람의 약 10%가 10대로 나타났다고 한다.
큰 문제는, 이렇게 청소년들이 불법 스포츠 도박에 한 번 발을 들이면 빠져 나오기가 어렵고 추후에 문제적 도박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은 ‘도박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계 연구’에서 문제성, 병적 도박자의 약 70%가 20세 이전에 도박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음을 밝혀냈다.
하지만 사실상 불법 스포츠 도박을 접하고 벗어나고 싶다고 해도 형사적인 처벌이 두려워 적극적인 치료나 상담을 받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호기심, 친구들도 하는데 뭐, “한번만 해보자” 등의 안일한 생각으로 불법 스포츠 도박에 발을 들여 헤어 나오지 못하는 늪에 스스로 들어가는 일은 없기를 바라는 바이다.
![]() |
||
▲ 방지현 |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SNS나 인터넷배너를 비롯해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불법 스포츠도박을 광고하는 것을 목격한 일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광고에 현혹돼 불법 스포츠 도박에 발을 들인다면 큰 낭패를 보게 될 것이다.
불법 도박 사이트의 약 70%가량이 돈만 먹고 도망가는 ‘먹튀’의 경우가 많고, 불법 도박 사이트에는 감사기관이 없기 때문에 업주가 승률조작을 하거나 불법적인 정보로 사용자에게 금전적인 피해를 주어도 이를 찾아낼 수도 신고할 수도 없다.
또한 불법 도박을 한 자에 대한 처벌이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이하의 벌금으로 절대 낮은 처벌 수위가 아니다.
요즘 들어 큰 문제는 최근 들어 청소년의 불법 도박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통의 불법 스포츠 도박 사이트는 온라인을 비롯해 스마트폰으로도 쉽게 접속이 가능하고 가입절차 역시 까다롭지 않게 계좌번호와 휴대전화 번호만 입력하면 되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접근하기가 매우 쉽다.
또한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도박관련 상담자 비율 중 10대 상담자 비율이 2014년도에는 0.4% 2015년도에는 1.6%로 약 4배가량 증가했고,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의 자료에 의하면 불법도박을 하는 사람의 약 10%가 10대로 나타났다고 한다.
큰 문제는, 이렇게 청소년들이 불법 스포츠 도박에 한 번 발을 들이면 빠져 나오기가 어렵고 추후에 문제적 도박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은 ‘도박범죄의 사회적 비용 추계 연구’에서 문제성, 병적 도박자의 약 70%가 20세 이전에 도박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음을 밝혀냈다.
하지만 사실상 불법 스포츠 도박을 접하고 벗어나고 싶다고 해도 형사적인 처벌이 두려워 적극적인 치료나 상담을 받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호기심, 친구들도 하는데 뭐, “한번만 해보자” 등의 안일한 생각으로 불법 스포츠 도박에 발을 들여 헤어 나오지 못하는 늪에 스스로 들어가는 일은 없기를 바라는 바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