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세대교체 첫 검찰 간부인사 단행

    사건/사고 / 여영준 기자 / 2017-07-28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검사장 이상 간부 36명 승진 전보… 고검장 5명 임명
    신규 검사장급 12명… 대전 · 대구고검 차장 공석유지

    [시민일보=여영준 기자]문재인 정부의 첫 검찰 고위간부 정기인사가 전격 단행됐다. 검사장급 이상 간부 36명의 인사이동이 단행되며 대규모 인적쇄신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법무부는 27일 검사장급 이상 간부 36명을 승진·전보하는 내용의 고위간부 인사를 단행했다. 이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수사 여파 속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중도 파면돼 2015년 12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이뤄지는 정기인사이며 문재인 정부의 첫 검찰 간부인사이다.

    법무부는 이번 인사 방향에 대해 "신임 검찰총장을 중심으로 검찰의 지휘부를 새롭게 개편해 조직의 기강과 분위기를 새롭게 하고, 검찰개혁 및 부패사범 척결이라는 당면 과제를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인사에서 검사장 직위 감축 기조의 일환으로 대전 및 대구 고검 차장 자리를 공석으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공석인 고검장급에는 19기 2명과 20기 3명이 임명됐다.

    법무연수원장에는 김오수 서울북부지검장(54·사법연수원 20기)이, 서울고검장에는 조은석사법연수원 부원장(52·19기)이, 대구고검장에는 황철규 부산지검장(53·19기)이 각각 임명됐다.

    또 문무일 검찰총장(56·18기)이 자리를 떠나면서 공석이 된 부산고검장에는 박정식 대검 반부패부장(56·20기)이, 광주고검장에는 김호철 법무부 법무실장(50·20기)이 각각 보임됐다.

    '특수통'으로 분류되는 김오수, 조은석, 박정식 검사장이 고검장으로 진입했고 기획·법무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김호철 검사장과 기획·국제형사 업무에 밝은 황철규 검사장도 승진됐다.

    김오수·조은석 고검장은 호남, 김호철·황철규 고검장은 서울, 박정식 고검장은 대구 출신이다.

    검사장으로는 이동열 서울중앙지검 3차장(51) 등 연수원 22기 3명과 이정회 중앙지검 2차장(51) 등 23기 9명이 발탁돼 총 12명이 신규 진입했다. 검사장은 '검찰의 꽃'으로 불린다.

    이 가운데 이영주 법무연수원 용인분원장(22기)이 춘천지검장으로 발탁돼 역대 두 번째 여성 검사장이라는 타이틀을 달았다.

    일선 지검의 경우 조희진 서울동부지검장(55·19기), 최종원 서울남부지검장(51·21기) , 안상돈 서울북부지검장(55·20기), 신유철 서울서부지검장(52·20기)을 비롯해 공상훈 인천지검장(58·19기) , 한찬식 수원지검장(49·21기) 등이 각각 보임됐다.

    전국 특별수사를 총괄 지휘하는 대검 반부패부장에는 김우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50·22기)이, 공안 사건을 총지휘하는 공안부장에는 권익환 법무부 기획조정실장(50·22기)이 각각 발령됐다.

    유상범 광주고검 차장검사는 지난달 창원지검장에서 광주고검으로 자리를 옮긴 지 한 달여만에 법무연수원 연구위원(51·21기)으로 다시 자리를 옮기게 됐다. 유 검사는 서울중앙지검 3차장 시절 '정윤회 문건' 수사를 지휘한 바 있다.

    검찰총장 직속으로 반부패 수사를 맡았던 김기동 부패범죄특별수사단장(53·21기)은 사법연수원 부원장으로 이동했다.

    앞서 정부는 검찰총장 임명 전에 대검 차장,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찰 주요 핵심 보직의 인사를 먼저 단행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