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28일 국내 판매중인 생리대는 안전하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조사결과와 관련, 여성환경연대가 "모든 유해성분을 조사하지 않은 성급한 결과"라고 반박했다.
여성환경연대 이안소영 사무처장은 "생리대 성분을 전수조사하지 않고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10종만 조사한 상태에서 '위해 우려가 없다'고 밝힌 것은 성급한 발표"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여성환경연대는 앞서 여성 생리대 위해성 의혹을 처음 제기한 바 있다.
이안 처장은 "해외 보고서에 따르면 생리대에서 다이옥신·퓨란 등 발암물질도 검출될 수 있다"면서 "생리대 전 성분을 조사하지도 않고 '안전하다'고 발표한 것은 여성의 고통 가능성을 외면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그는 "젠더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 성분 조사와 피해자 중심 역학조사를 해야 한다"면서 "빠른 발표가 중요한 게 아니라, 제대로 된 조사와 장기적 로드맵 제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여성환경연대 장이정수 상임대표는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 발표에 대해 "생리대에 유해물질이 있을 경우 미량이라도 일반적인 피부 독성과는 다르다"면서 "제대로 된 연구와 논의가 이제야 시작된 것이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그는 식품의약품 조사결과에 대해 "예상한 결과"라면서 "'해프닝'으로 치부하고 다시 예전처럼 아무 문제 없다는 듯 돌아가자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우리 사회가 선택할 문제라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여성환경연대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등 여성·환경단체들과 함께 이날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공동행동 네트워크' 출범을 선언했다.
이들은 "여성들은 오랫동안 생리대로 인한 피부질환과 생리통 급증, 자궁내막증·다낭성 증후군 등 크고 작은 질병을 앓았으나 개인의 문제로 치부 당했다"면서 "10월에 예정된 국정감사에서 국회가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대책을 촉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정부와 기업에 ▲ 생리대 안전 기준 마련 ▲ 생리대 부작용 피해 여성 역학조사 ▲ 생리대 제조 및 유통 정보 공개를 촉구했다.
앞서 식약처는 같은날 "2014년 이후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수입된 생리대와 팬티라이너 등 666개 품목을 대상으로 VOCs 10종의 인체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인체에 유해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차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여성환경연대 이안소영 사무처장은 "생리대 성분을 전수조사하지 않고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10종만 조사한 상태에서 '위해 우려가 없다'고 밝힌 것은 성급한 발표"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여성환경연대는 앞서 여성 생리대 위해성 의혹을 처음 제기한 바 있다.
이안 처장은 "해외 보고서에 따르면 생리대에서 다이옥신·퓨란 등 발암물질도 검출될 수 있다"면서 "생리대 전 성분을 조사하지도 않고 '안전하다'고 발표한 것은 여성의 고통 가능성을 외면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그는 "젠더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 성분 조사와 피해자 중심 역학조사를 해야 한다"면서 "빠른 발표가 중요한 게 아니라, 제대로 된 조사와 장기적 로드맵 제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여성환경연대 장이정수 상임대표는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 발표에 대해 "생리대에 유해물질이 있을 경우 미량이라도 일반적인 피부 독성과는 다르다"면서 "제대로 된 연구와 논의가 이제야 시작된 것이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그는 식품의약품 조사결과에 대해 "예상한 결과"라면서 "'해프닝'으로 치부하고 다시 예전처럼 아무 문제 없다는 듯 돌아가자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우리 사회가 선택할 문제라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여성환경연대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등 여성·환경단체들과 함께 이날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공동행동 네트워크' 출범을 선언했다.
이들은 "여성들은 오랫동안 생리대로 인한 피부질환과 생리통 급증, 자궁내막증·다낭성 증후군 등 크고 작은 질병을 앓았으나 개인의 문제로 치부 당했다"면서 "10월에 예정된 국정감사에서 국회가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을 위한 대책을 촉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정부와 기업에 ▲ 생리대 안전 기준 마련 ▲ 생리대 부작용 피해 여성 역학조사 ▲ 생리대 제조 및 유통 정보 공개를 촉구했다.
앞서 식약처는 같은날 "2014년 이후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수입된 생리대와 팬티라이너 등 666개 품목을 대상으로 VOCs 10종의 인체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인체에 유해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차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