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한국당 “안일한 서울시 행정이 ‘분리수거 대란’ 초래” 주장

    지방의회 / 이진원 / 2018-04-05 13:39:08
    • 카카오톡 보내기
    시의회 한국당 긴급 기자회견
    “中 수입금지 발표후 9개월 방관
    수거업체 전수조사 신속히 완료
    박원순 시장은 대응책 마련해야”

    ▲ 서울시의회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4일 ‘분리수거 대란’과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의 행정 운영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의회)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중국이 폐플라스틱 등의 폐자원 수입을 중단해 ‘분리수거 대란’이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의회 자유한국당이 “이미 예견된 사태임에도 불구하고, 안일한 서울시 행정이 오늘의 사태를 초래했다”면서 비판하고 나섰다.

    시의회 한국당은 강감창 원내대표(송파4)를 필두로 4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의 서울시는 미세먼지도, 페트병도 책임시정이 실종돼 시민을 불안하게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박원순 시장은 역대 시장들이 오래전 구축해놓은 폐기물처리 시스템을 유지하는 수준에서 머물렀을 뿐, 시스템을 개선하고 진전된 정책을 내놓는 등의 새로운 고민을 한 흔적을 전혀 찾아볼 수가 없다”고 힐난했다.

    이상묵 정책위원장(성동2)도 “폐기물 처리 문제가 곪아서 터질 때까지 방치한 박원순 시장은 시민에게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해야 할 것”이라면서 “조속히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강 원내대표에 따르면 서울시에서는 지금까지 수거업체 전수조사도 실시하지 않아 정확한 실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2017년 7월 중국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폐자원을 수입 금지한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폐기물처리 대란이 이미 예견됐음에도 불구하고, 9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이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관련, 시의회 한국당은 ‘서울시폐기물관리조례 제2조 제1항’에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운영비용 및 기술지원 ▲폐기물의 수집·운반 및 처리비용의 지원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및 공동 이용 ▲재난 등 긴급사태 발생시 청소인력과 시설·장비의 지원 및 동원 등을 지원한다고 돼있으나, 대부분 과거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수준에 머무르며 제대로 지원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동 조례안 제8조’에는 시장이 관계공무원으로 하여금 연 1회 이상 폐기물처리업자에 대해 ▲시설·장비 및 기술능력의 확보 여부 ▲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처리의 적정 여부 ▲수수료 징수의 적정 여부 ▲그밖에 행정지시 등의 이행 여부 등의 사항을 검사하게 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재활용선별시설과 음식폐기물처리시설 처리단가의 경우 자치구에 미루는 등 무책임한 행정처리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고 덧붙였다.

    이날 시의회 한국당은 시 행정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하는 한편, 대응책을 제시하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시의회 한국당은 ▲신속히 수거업체 전수 조사를 완료하고 수거업체 협의체를 만들어 유기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것 ▲배출량 추이 등 과학적인 데이터를 구축해 예측이 가능하도록 할 것 ▲기존 시스템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폐기물 처리시설 시스템구축에 예산을 투자하는 등 새로운 대안을 마련할 것 등의 안을 제시했다.

    한편 기자회견에는 강 원내대표와 이 정책위원장을 비롯해 남창진·박성숙·성중기·송재형·이석주·이혜경·황준환 의원이 참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