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서울광장서 年 평균 257일 행사
시민이용은 50일 안팎··· 조성목적 변질”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성중기 서울시의원(자유한국당·강남1)이 “서울광장에서 연일 계속되는 행사로 시민과 방문객들이 쉴 곳을 잃었다”며 비판하고 나섰다.
성 의원은 25일 이같이 밝히면서 “서울시로부터 받은 서울광장의 행사 개최현황 및 개최된 행사 내용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면 기존 서울광장의 조성 목적은 찾아 볼 수 없다”며 “시민의 쉼터로서의 역할을 전혀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특히 성 의원은 “지난 5년간 서울광장에서 개최된 행사는 총 699건으로, 연평균 140건이었으며, 연간 행사일수는 총 1283일로 연평균 257일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서울광장에서) 개최된 행사 중 몇몇 행사는 대다수 시민의 정서에 맞지 않는 행사였다”며 “행사개최 허가에 대해서도 많은 질타를 받아왔다”고 직격했다.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과 관광객이 서울광장을 여가 및 쉼터로 쓸 수 있는 날은 100일 내외로, 이마저도 광장이용이 어려운 혹한기나 혹서기를 제외하면 50일 내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성 의원은 서울광장의 잔디 유지보수 비용과 관련해서도 “행사로 인해 노후된 잔디교체 및 유지보수로 매해 약 1억원의 예산이 계속적으로 투입됐으며, 올해의 경우 그간 무상으로 제공돼오던 잔디가 아닌 약 1억2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구매한 잔디로 보수한 비용까지 포함하면 약 2배 이상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우려했다.
아울러 “이번 남북정상회담 표현을 위한 상징물 설치를 한다는 명목으로 식재한지 한달도 채 되지 않은 새 잔디를 거두고 꽃 조형물을 심는 등 3중 예산낭비를 하고 있다”며 “공무원 사내 게시판에도 예산낭비에 대한 불만의 의견이 팽배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힐난했다.
마지막으로 성 의원은 “지금의 서울광장은 당초 서울광장의 개장목적인 시민의 여가활동과 문화생활 향유와 같은 모습은 조금도 찾아볼 수 없는, 서울시와 몇몇 단체의 홍보의 장으로 변질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예산의 효율적인 사용과 당초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광장의 사용신청에 대해 좀 더 엄격하게 심사함으로써 서울광장은 시민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서울광장은 2004년 5월1일부터 시민에게 개방돼 시민의 건전한 여가활동과 문화생활 향유, 공익적 행사진행 등을 위해 시청 앞에 놓여있던 분수대를 헐고 주변을 다듬어 개장한 바 있다.
시민이용은 50일 안팎··· 조성목적 변질”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 |
||
▲ 성중기 서울시의원 |
성 의원은 25일 이같이 밝히면서 “서울시로부터 받은 서울광장의 행사 개최현황 및 개최된 행사 내용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면 기존 서울광장의 조성 목적은 찾아 볼 수 없다”며 “시민의 쉼터로서의 역할을 전혀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특히 성 의원은 “지난 5년간 서울광장에서 개최된 행사는 총 699건으로, 연평균 140건이었으며, 연간 행사일수는 총 1283일로 연평균 257일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서울광장에서) 개최된 행사 중 몇몇 행사는 대다수 시민의 정서에 맞지 않는 행사였다”며 “행사개최 허가에 대해서도 많은 질타를 받아왔다”고 직격했다.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과 관광객이 서울광장을 여가 및 쉼터로 쓸 수 있는 날은 100일 내외로, 이마저도 광장이용이 어려운 혹한기나 혹서기를 제외하면 50일 내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성 의원은 서울광장의 잔디 유지보수 비용과 관련해서도 “행사로 인해 노후된 잔디교체 및 유지보수로 매해 약 1억원의 예산이 계속적으로 투입됐으며, 올해의 경우 그간 무상으로 제공돼오던 잔디가 아닌 약 1억2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구매한 잔디로 보수한 비용까지 포함하면 약 2배 이상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우려했다.
아울러 “이번 남북정상회담 표현을 위한 상징물 설치를 한다는 명목으로 식재한지 한달도 채 되지 않은 새 잔디를 거두고 꽃 조형물을 심는 등 3중 예산낭비를 하고 있다”며 “공무원 사내 게시판에도 예산낭비에 대한 불만의 의견이 팽배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힐난했다.
마지막으로 성 의원은 “지금의 서울광장은 당초 서울광장의 개장목적인 시민의 여가활동과 문화생활 향유와 같은 모습은 조금도 찾아볼 수 없는, 서울시와 몇몇 단체의 홍보의 장으로 변질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예산의 효율적인 사용과 당초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광장의 사용신청에 대해 좀 더 엄격하게 심사함으로써 서울광장은 시민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서울광장은 2004년 5월1일부터 시민에게 개방돼 시민의 건전한 여가활동과 문화생활 향유, 공익적 행사진행 등을 위해 시청 앞에 놓여있던 분수대를 헐고 주변을 다듬어 개장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