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드라마 '원한해결사무소' 영상 캡쳐) |
지난해 서울시교육청은 3월 20일부터 4월 28일까지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2017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실태조사에는 대상 학생의 93.3%인 68만4천116명이 참여했습다.
참여 학생 가운데 학교폭력을 당한 적 있다고 답한 학생은 1.3%인 9천105명으로 지난해1차 실태조사와 비교해 908명, 2015년보다는 1천663명 줄었다.
학교폭력 피해 학생을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생이 6천512명으로 전체의 71.5%를 차지했고 중학생은 1천582명으로 17.3%, 고등학생은 974명으로 10.7%였다.
초등생은 전체 초등생의 3.2%가 학교폭력을 당한 적 있다고 답한 셈이어서 그 비율이 중학교 0.7%나 고등학교 0.4%보다 각각 4.5배와 8배 높았다. 학교폭력 가해자는 동급생이 가장 많았다.
피해 학생의 41.0%는 '같은 학교, 같은 반', 34.9%는 '같은 학교, 같은 학년'으로부터 폭력을 당했다고 밝혀 동급생을 가해자로 꼽은 비율이 75.9%에 달했다.
가해자로 '같은 학교, 다른 학년'을 꼽은 피해 학생은 8.9%, '다른 학교 학생'은 3.8%, '잘 모르는 사람'은 2.7%였고 '기타'는 8.6%였다.
학교폭력을 겪은 장소는 '교실 안' 28.1%, 복도 13.4% 등 학교 안이 65.7%나 차지했습니다. 시간대는 쉬는 시간, '하교 이후', 점심시간, 수업시간 순이었다. 피해를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한 경우는 77.9%였고 대상은 가족이 49.1%로 가장 많았다.
학교폭력을 유형별로 나누면 언어폭력 34.5%, 집단따돌림 17.1%, 스토킹 12.6%, 신체 폭행 11.6% 순이었다. 자신이 학교폭력 가해자였다는 학생은 2천568명으로 실태조사 참여 학생의 0.4%를 차지했다.
한편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5월 한달 동안 진행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