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주민-SH 간담회
“학교등 인근 시설물 안전성 검토 안해”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김인제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구로4)이 지난 8일 오전 구로구 항동지구 주택건설현장을 방문해 항동지구 및 인근 아파트 단지 지하를 관통하는 형태로 조성될 서서울고속도로 공사에 대한 지역주민 및 서울주택도시공사(SH) 관계자와 간담회를 개최했다.
서서울고속도로는 총 사업비 9700억원이 소요되는 ‘서울광명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으로 서울 서남부지역인 구로구에서 경기 광명·수원·평택시와 충남 천안시을 잇는 국가간선도로망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현재 해당 고속도로 구간의 일부가 항동지구 지하를 굴착해 통과하도록 노선이 계획됐으나 지하터널 굴착에 대한 안전성 검토만 2회에 걸쳐 실시됐을 뿐 주변 시설물에 대한 안전성이나 지하수 변화에 대한 영향 등은 전혀 검토되지 않은 상태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구로지역 주민들은 “지하터널에 대한 불안과 걱정뿐만 아니라 터널의 침수방지를 위한 배수시설 및 변전실이 설치되는 수직구까지 주거지역 인근에 설치하겠다는 국토교통부의 계획에 어떤 주민이 찬성할 수 있겠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지하터널 위로는 초등학교 및 중학교까지 위치하고 있어 아이들의 안전과 건강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라면서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이에 김 의원은 “주민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서서울고속도로 사업은 원천적으로 무효”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주민들의 재산과 건강에 아무런 해가 없는지 확신이 들 때까지 검증해도 모자란 상황에서 국가기반시설 조성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와 사업관리주체인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은 충분한 사전조치 없이 서울~광명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을 승인·고시한 것은 구로주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꼬집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항동지구를 관통하는 고속도로 건설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우회 노선변경을 위해 담당부처인 국토교통부 및 서울시 관계부서와 함께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등 인근 시설물 안전성 검토 안해”
![]() |
||
▲ 김인제 서울시의원이 구로구 항동지구 주택건설현장을 방문, 항동지구 및 인근 아파트 단지 지하를 관통하는 ‘서서울고속도로 조성공사’와 관련해 지역주민 및 서울주택도시공사(SH) 관계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의회) |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김인제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구로4)이 지난 8일 오전 구로구 항동지구 주택건설현장을 방문해 항동지구 및 인근 아파트 단지 지하를 관통하는 형태로 조성될 서서울고속도로 공사에 대한 지역주민 및 서울주택도시공사(SH) 관계자와 간담회를 개최했다.
서서울고속도로는 총 사업비 9700억원이 소요되는 ‘서울광명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으로 서울 서남부지역인 구로구에서 경기 광명·수원·평택시와 충남 천안시을 잇는 국가간선도로망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현재 해당 고속도로 구간의 일부가 항동지구 지하를 굴착해 통과하도록 노선이 계획됐으나 지하터널 굴착에 대한 안전성 검토만 2회에 걸쳐 실시됐을 뿐 주변 시설물에 대한 안전성이나 지하수 변화에 대한 영향 등은 전혀 검토되지 않은 상태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구로지역 주민들은 “지하터널에 대한 불안과 걱정뿐만 아니라 터널의 침수방지를 위한 배수시설 및 변전실이 설치되는 수직구까지 주거지역 인근에 설치하겠다는 국토교통부의 계획에 어떤 주민이 찬성할 수 있겠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지하터널 위로는 초등학교 및 중학교까지 위치하고 있어 아이들의 안전과 건강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라면서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이에 김 의원은 “주민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서서울고속도로 사업은 원천적으로 무효”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주민들의 재산과 건강에 아무런 해가 없는지 확신이 들 때까지 검증해도 모자란 상황에서 국가기반시설 조성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와 사업관리주체인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은 충분한 사전조치 없이 서울~광명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을 승인·고시한 것은 구로주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꼬집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항동지구를 관통하는 고속도로 건설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우회 노선변경을 위해 담당부처인 국토교통부 및 서울시 관계부서와 함께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