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저소득층 월평균 소득 36% 급감
[시민일보=이진원 기자]통계청 가계조사 결과 우리나라 최저소득층의 소득이 15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으며, 근로소득이 3분의 1 이상 급감한 것이 주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10분위(10구간)로 나눠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중 소득 하위 10%(1분위)는 올해 1분기 기준 월평균 명목소득이 84만1203원이다.
이는 1년 전보다 12.2%(11만7368원)나 줄어든 수치로, 감소액과 감소율 모두에서 관련 통계가 있는 2003년 이후 가장 겄다.
세부적으로 가장 큰 원인은 ‘근로소득 감소’로, 1년 사이에 24만7012원에서 15만9034원으로, 35.6%(8만7978원)나 급감했다.
김광석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는 “저소득층 중심으로 고용 안정성이 떨어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 같다”며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인상된 후 영세한 업체가 인건비를 낮추기 위해 고용을 줄인 탓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물가변동 영향을 배제한 실질소득’을 대략 계산해보면 최저 소득층의 소득 감소폭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15년 가치를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 1분기 하위 10% 가구 실질소득은 80만916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3.3%(12만4573원) 줄었으며, 감소 폭과 감소율도 2003년 이후 최대였다.
아울러 1분기 실질 소득은 2012년 1분기(78만9772원) 이래 6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에는 1년 전보다 17.5% 늘었는데, 올해 1분기에는 상황이 급격히 달라졌다. 하위 10% 가구의 소득은 최저 생계비에 한참 미달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소득 상위 10%(10분위)의 월 소득은 올해 1분기 1271만7465원(명목)으로, 1년 전보다 10.7%(122만5천64원)나 늘어났으며, 실질소득도 1223만3037원으로 9.3%(103만8414원) 증가해 증가율·증가폭 모두 최대 수준이었다.
[시민일보=이진원 기자]통계청 가계조사 결과 우리나라 최저소득층의 소득이 15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으며, 근로소득이 3분의 1 이상 급감한 것이 주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10분위(10구간)로 나눠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중 소득 하위 10%(1분위)는 올해 1분기 기준 월평균 명목소득이 84만1203원이다.
이는 1년 전보다 12.2%(11만7368원)나 줄어든 수치로, 감소액과 감소율 모두에서 관련 통계가 있는 2003년 이후 가장 겄다.
세부적으로 가장 큰 원인은 ‘근로소득 감소’로, 1년 사이에 24만7012원에서 15만9034원으로, 35.6%(8만7978원)나 급감했다.
김광석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겸임교수는 “저소득층 중심으로 고용 안정성이 떨어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 같다”며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인상된 후 영세한 업체가 인건비를 낮추기 위해 고용을 줄인 탓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물가변동 영향을 배제한 실질소득’을 대략 계산해보면 최저 소득층의 소득 감소폭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15년 가치를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 1분기 하위 10% 가구 실질소득은 80만916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3.3%(12만4573원) 줄었으며, 감소 폭과 감소율도 2003년 이후 최대였다.
아울러 1분기 실질 소득은 2012년 1분기(78만9772원) 이래 6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에는 1년 전보다 17.5% 늘었는데, 올해 1분기에는 상황이 급격히 달라졌다. 하위 10% 가구의 소득은 최저 생계비에 한참 미달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소득 상위 10%(10분위)의 월 소득은 올해 1분기 1271만7465원(명목)으로, 1년 전보다 10.7%(122만5천64원)나 늘어났으며, 실질소득도 1223만3037원으로 9.3%(103만8414원) 증가해 증가율·증가폭 모두 최대 수준이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