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류 노동자에 보조금도 지원을”
전북 군산시의회 의장단이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한국GM 군산공장에 대한 활용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시의회는 30일 한국지엠 군산공장의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활용방안과 근로자들의 고용생존권 보장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는 31일자로 한국GM 군산공장이 결국 문을 닫게 되면서다.
이에 시의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2월13일 GM측에서 발표한 군산공장 폐쇄 결정 후 '공장 정상화'라는 30만 군산시민들의 피맺힌 절규와 간절한 염원을 정부와 GM 등 그 누구도 귀 기울여 듣지 않은 채 결국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것을 보게 됐다"며 "군산시민을 대한민국 국민으로나 생각하고 있는지 분노와 배신감, 모멸감이 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6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6000명의 근로자를 포함한 1만여명 이상의 인구가 군산을 떠나 군산 지역경제가 초토화 된 상태에서 정부와 GM이 군산공장 정상화 방안을 배제한 기본계약은 지역 차별"이라고 질타했다.
군산지역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이어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라는 연이은 대형악재로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입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시의회는 "정부는 부평·창원공장 지원에 상응하는 자금을 군산에도 투자하는 등 군산공장의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활용 방안을 즉각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정부가 GM 배리앵글이 약속한 군산공장 활용방안과 군산공장 잔류 노동자의 신속한 전환 배치, 생계 보조금 지원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전북 군산시의회 의장단이 군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에 한국GM 군산공장에 대한 활용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시의회는 30일 한국지엠 군산공장의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활용방안과 근로자들의 고용생존권 보장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는 31일자로 한국GM 군산공장이 결국 문을 닫게 되면서다.
이에 시의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2월13일 GM측에서 발표한 군산공장 폐쇄 결정 후 '공장 정상화'라는 30만 군산시민들의 피맺힌 절규와 간절한 염원을 정부와 GM 등 그 누구도 귀 기울여 듣지 않은 채 결국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것을 보게 됐다"며 "군산시민을 대한민국 국민으로나 생각하고 있는지 분노와 배신감, 모멸감이 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6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6000명의 근로자를 포함한 1만여명 이상의 인구가 군산을 떠나 군산 지역경제가 초토화 된 상태에서 정부와 GM이 군산공장 정상화 방안을 배제한 기본계약은 지역 차별"이라고 질타했다.
군산지역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이어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라는 연이은 대형악재로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입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시의회는 "정부는 부평·창원공장 지원에 상응하는 자금을 군산에도 투자하는 등 군산공장의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활용 방안을 즉각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정부가 GM 배리앵글이 약속한 군산공장 활용방안과 군산공장 잔류 노동자의 신속한 전환 배치, 생계 보조금 지원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