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당명-정강정책 개정 동의 호소했지만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0-09-01 10:01:08

 

주호영 "정강정책, 4선 연임금지 등 세조항이 문제"
하태경 ”당명 개정 최대 피해자는 김종인 위원장"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1일 당명과 정강·정책 개정을 놓고 "당이 변화하는 모습을 국민에게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며 의원들에게 동의를 호소했으나 반발 기류가 심상치 않다는 지적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당 유튜브가 중계한 비대면 의원총회를 통해 "우리 당은 과거 탄핵의 아픔을 경험하고 선거에서 계속 패배를 맛봤으며, 지난 4월 엄청난 패배를 하면서 위기 상황에 봉착해 있다"며 "여러 의원들이 우리 당이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를 냉철히 직면하고 다소 마음에 안 들더라도 동의해주기를 간절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비대위에서 마련한 당명과 정강·정책 등이 여러분 개개인의 성향에 잘 맞지 않는 부분도 있으리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만약 여기에서 균열이 생겨 '그러면 그렇지. 저 당이 그럴 수 있느냐' 이런 소리를 절대 들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당명 혹은 정강정책 조항에 대해 반대 저항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으로 내정된 당명과 관련해 “안팎에서 여러 찬반이 있다. '누가 쓰던 이름이다' '부르기 어색하다' 등 일부 지적이 있으나 그럼에도 사용하자는 의견도 있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전했다.


다만 정강정책에 대해서는 “세 가지 조항에 대해 문제제기가 나왔다"며 ▲4선 연임 금지 ▲KBS 수신료 분리 징수 ▲지방의원 통폐합 건에 대한 당내 이견을 전했다. 


반면 하태경 의원은 새 당명 개정으로 인해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최대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감싸고 나서 눈길을 끌었다. 


이날 tbs 라디오에 출연한 하 의원은 "국민들은 국민의당 이름을 잘 모르는데 앞으로 여론조사에서 '국민 뭐라고 하던데' 이러면서 우리당 지지율이 국민의당 지지율에 반영될 것"이라며 "가장 좋을 사람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고 가장 큰 피해자는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당명 자주 바꾸는 게 좋지 않다. 한나라당으로 쭉 왔어도 큰 문제가 있었는가 싶다"며 "대표가 바뀌고 비상대책위원장이 바뀐다고 당명이 바뀌는 건 후진 정치"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적어도 안철수 대표의 존재를 인정하기 위해선 합칠 때 당명을 바꿔야 한다. 합치고 바꾸는 건 의미가 있지만 합치기 전에 바꾸면 안 바꾸겠다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이라는 당명에 반대하는 현직 의원들도 많은 상태"라고 전했다.


한편 친박신당 박시원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통합당이 당명을 개정하는 것은 자유지만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잇따른 패배가 마치 탄핵으로 인한 박근혜 대통령 잘못에서 비롯된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어 "통합당의 총선 패배는 보수가 뭉쳐야 한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메시지를 무시한 결과이며, 야당이 야당답지 못하고 문재인 좌파정권을 따라가는 답답한 모습이 싫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 와서 광주 가서 무릎 끓고 당의 핵심 지지기반을 잘라내 민주당의 2중대역할을 하는 것이 당을 쇄신하고 있는 것으로 착각을 하고 있다"며 "통합당이 진정한 보수 정당이라면 보수 세력 대 통합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