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3해법` 제시했던 윤미향, 한일합의 직후 돌연 비판...왜?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0-05-13 11:30:38

정대협 소식지 남편 회사에서 발간...곽상도 “일감 준 것 아니냐”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대)' 대표 출신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이 후원금 용처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가운데 연일 새로운 의혹들이 추가되고 있어 주목된다.


13일 국민일보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가 이뤄지기 8개월 전, 매우 유사한 내용의 해결 방안을 제시했으나 정작 양국 간 합의가 이뤄지자 태도를 바꿨다. 


실제 윤 당선인은 2014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정의기억연대 전신) 상임대표로 자신이 주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면서도 ‘법적 책임’이라는 문구 없이 “사실과 책임을 인정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제언은) 우리가 일본 정부에 요구하는 해결의 내용”이라고 강조, 정대협이 ‘일본 정부가 법적 책임이라는 말을 명시적으로 밝혀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다소 물러섰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특히 한·일 위안부 협상에 참여했던 당국자들은 이 제언을 일종의 ‘가이드라인’으로 간주하고 협상에 임했다는 후문도 있다. 


실제 당시 협상 실무에 관여했던 외교부 당국자는 2016년 2월 비공식 브리핑에서 “윤미향 대표와 여러 차례 의견 교환을 했었다”며 “2014년 아시아연대회의를 잘 보면 몇 가지 변화가 눈에 띈다. 우선 ‘법적 책임’에서 ‘법적’이 빠졌고 책임자 처벌 요구도 빠졌다”고 평가한 바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최종 합의문에 ‘일본 정부의 책임 통감’과 ‘일본 정부 예산 투입’이라는 문구가 반영됐다는 게 전직 외교부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그해 12월 28일 체결된 위안부 합의는 '일본 정부 책임 통감' '아베 신조 총리가 총리로서 반성 및 사과' '일본 국고에서 10억엔 출연' 등이 주요 내용으로, 윤 당선인이 해결책으로 제시한 해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윤 당선인이 이끌던 정대협이 정작 합의 당일인 2015년 12월 28일엔 위안부가 ‘조직적 범죄’였고 ‘일본 정부가 범죄의 주체’라는 점이 문안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등 강경한 입장을 내세우며 합의 발표 전과 180도 다른 태도를 보여 외교 당국자들을 당혹스럽게 했다는 지적이다. 


또 정대협이 발간한 소식지를 편집디자인한 업체가 윤미향 당선인의 남편이 대표로 있는 수원시민신문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윤 당선인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시민단체인 정대협 상임대표와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사장(2008~2020년) 등을 지냈다. 


이날 곽상도 미래통합당 의원이 입수한 2015~2019년 정대협 및 정의연 소식지에 따르면 2015~2017년에는 매해 11월 소식지를 발간했다. 해당 소식지 겉장에는 발행인(정대협)·주소·전화번호 등과 함께 소식지의 ‘편집디자인’ 업체로 수원시민신문이 나와 있다. 이곳은 윤 당선인의 남편인 김모씨가 대표(발행·편집인)로 있는 곳이다. 


2018·2019년에는 발행인을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로 바꿔 발간했는데 이때도 소식지를 편집디자인 한 곳은 수원시민신문이었다. 


곽 의원은 “서울 마포에 있는 정대협·정의연의 소식지를 굳이 수원에 있는 인터넷 신문사에 맡길 이유가 뭔지 모르겠다. 수원시민신문은 편집디자인 전문업체도 아니다”라며 “후원금을 받은 정대협이 윤 당선인의 남편 회사에 일감을 준 게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왜 하필 수원시민신문을 선정했는지, 정대협 소식지를 편집디자인 한 대가로 얼마를 줬는지 등을 국민 앞에 공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대협이 공개한 재무제표를 보면 홍보사업비(홍보물제작비 등 포함)로 2016년 600만원, 2017년 780만원, 2018년 2960만원, 2019년 2500만원을 썼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