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또 거짓말 논란...'사기꾼' 호명될 위기?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0-01-05 13:36:27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또 다시 거짓말 논란에 휩싸였다.
유 이사장이 지난 2일 "2004년 국가보안법 폐지 등 개혁입법을 추진할 때 한나라당이 육탄으로 저지해서 실패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당시 당시 열린우리당 의장이었던 이부영 전 의원이 "왜곡된 거짓말"이라고 공개적으로 반박하면서다.
실제 이 전 의원은 최근 페이스북 글을 통해 “유 이사장이 JTBC 신년토론에서 2004년 개혁입법 실패와 관련해 거짓말을 했다”며 “2004년 4대 개혁입법 실패는 국가보안법 개정 여야합의를 여당(열린우리당)이 파기한 탓”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의원에 따르면 당시 국가보안법 완전폐지, 신문법, 과거사법, 사학법 개혁입법 처리 과정에서 국가보안법 폐지를 두고 불거진 열린우리당 내부 이견이 합의 실패로 이어졌다.
이 전 의원은 “(당시) 야당은 국회를 점거하지도 않았고 여야협상은 순항했다"며 "(하지만) 여당이 국가보안법 완전폐지를 주장하는 바람에 협상은 깨졌다. 그리고 열린우리당은 분열했고 정권을 빼앗기고 말았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개혁입법 도입 실패에 여당 내 분열이 더 큰 원인이 됐다"면서 "국가보안법 개정안은 국가보안법 7조의 대부분인 찬양, 고무, 동조, 회합, 통신 등 5개 독소조항을 삭제하기로 합의했다. 이렇게 개정되면 국민의 기본권, 특히 언론 집회 사상 결사의 자유가 엄청나게 신장될 것이었다”며 "(그러나 완전폐지를 주장했던) 당시 천정배 원내대표와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인 유 의원 등의 반대로 수정안 처리가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이 전 의원은 “여야협상을 추진하도록 지지했던 3선 이상 중진의원들은 청와대 지지를 받고있는 것으로 보였던 유시민 의원 등 국가보안법 폐지파 의원들의 살기등등한 기세에 눌려 침묵했다”며 “이렇게 국가보안법 개정안은 물거품이 됐다. 통진당도 그 악법에 따라 해체당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나이를 먹고 현역정치에서 물러났으면 못 본 채 지나칠 수 있으나 역사를 조작하거나 거짓주장을 하는 것은 용서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당시 강경파 의원들로부터 "배신자"라는 말까지 들었던 이 전 의장은 국보법 처리에 실패한 본회의 이틀 뒤 당 의장직에서 물러났다.
유시민 이사장의 거짓말이 도마 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실제 임찬종 SBS 기자는 지난 2일 '사기꾼으로 부르려면 몇 번의 거짓말이 필요할까요' 제하의 페이스북 글로 유 이사장을 직격했다.
임 기자는 “앞서 페이스북에 유시민 씨가 ‘알릴레오’에서 밝힌 내용 중 허위사실이 있다는 점을 몇 차례 지적한 적이 있다"며 “제가 밝혀낸 것만 해도 유시민 씨가 허위발언을 한 것은 여러 번이지만, 이 정도를 가지고 사기꾼이라고 부르는 것이 법적으로 허용되는지는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실제 유 이사장은 최성해 전 동양대 총장, 심재철 한국당 원내대표,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등과 충돌하면서 거짓말 논란을 야기했고 특히 대형 가족 스캔들로 물의를 빚은 조국 전 정무수석을 일방적으로 두둔했다가 허위로 드러나면서 빈축을 사기도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