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정부, 민간인사찰 없다고 했으나...특감반, 민간인사찰 목록 폭로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8-12-18 00:02:35
나경원 표리부동, 국기문란행위...김병준 제2의 박관천 경정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 수사관의 연이은 의혹제기와 이에 대응하는 청와대의 진실게임이 가관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민간인 사찰의혹까지 불거져 파문이 일고 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17일 청와대 특감반 의혹을 국기 문란 행위로 규정하고 조속히 국회 운영위원회를 소집해 명명백백하게 사실을 밝혀야 한다며 민간인 사찰이 없다고 했던 이 정부가 전 총리와 은행장 정보를 수집하는 표리부동을 보이고 있다고 직격했다.
앞서 우윤근 주러시아 대사의 비위 첩보로 청와대에서 쫓겨났다고 주장한 김 수사관은 이날 한 언론에 자신이 청와대 근무 당시 작성했다고 주장하는 민간인 사찰 목록을 추가 폭로했다.
특감반 고유 권한을 넘어선 것으로 의심되는 광범위한 민간인 정보 수집 내역이 담긴 문건이었다.
나 원내대표는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우윤근 대사의 비위 의혹을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해명한 것에 대해서도 모 방송의 우윤근 대사 인터뷰를 보면 러시아 대사 임명 당시 이 부분에 대한 (임 실장의) 질문을 받아 설명했다(는 내용이 있다)며 이제 임 실장이 이 부분 의혹을 책임 있게 얘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번 사건을 박근혜 정부 당시 박관천 경정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과 비교하면서 공세를 이어갔다.
김 위원장은 (당시 민주당은) 국기 문란이라고 주장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 후보 시절 불법 사찰을 막겠다고 했다며 정권의 위선적인 태도가 도를 넘고 있다. 내로남불"이라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2016년 이석수 초대 감찰관 사퇴 이후 26개월째 공석인 사실을 거론하면서 견제 장치가 사실상 마비됐다며 "특별감찰관을 임명할 것을 여러 번 얘기했는데, 여당이 전혀 움직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약 특별감찰관이 있었다면 임종석 비서실장과 조국 민정수석 등의 제 식구 감싸기 행태가 쉽게 이뤄지지 못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평화당 문정선 대변인은 자신의 비위는 감춘 채 보복성 징계라는 폭로전으로 물을 타는 감찰반원이나 감찰반원의 폭로에 맞대응하는 청와대도 민망한 건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김태우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 수사관의 연이은 의혹제기와 이에 대응하는 청와대의 진실게임이 가관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민간인 사찰의혹까지 불거져 파문이 일고 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17일 청와대 특감반 의혹을 국기 문란 행위로 규정하고 조속히 국회 운영위원회를 소집해 명명백백하게 사실을 밝혀야 한다며 민간인 사찰이 없다고 했던 이 정부가 전 총리와 은행장 정보를 수집하는 표리부동을 보이고 있다고 직격했다.
앞서 우윤근 주러시아 대사의 비위 첩보로 청와대에서 쫓겨났다고 주장한 김 수사관은 이날 한 언론에 자신이 청와대 근무 당시 작성했다고 주장하는 민간인 사찰 목록을 추가 폭로했다.
특감반 고유 권한을 넘어선 것으로 의심되는 광범위한 민간인 정보 수집 내역이 담긴 문건이었다.
나 원내대표는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우윤근 대사의 비위 의혹을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해명한 것에 대해서도 모 방송의 우윤근 대사 인터뷰를 보면 러시아 대사 임명 당시 이 부분에 대한 (임 실장의) 질문을 받아 설명했다(는 내용이 있다)며 이제 임 실장이 이 부분 의혹을 책임 있게 얘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번 사건을 박근혜 정부 당시 박관천 경정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과 비교하면서 공세를 이어갔다.
김 위원장은 (당시 민주당은) 국기 문란이라고 주장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 후보 시절 불법 사찰을 막겠다고 했다며 정권의 위선적인 태도가 도를 넘고 있다. 내로남불"이라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2016년 이석수 초대 감찰관 사퇴 이후 26개월째 공석인 사실을 거론하면서 견제 장치가 사실상 마비됐다며 "특별감찰관을 임명할 것을 여러 번 얘기했는데, 여당이 전혀 움직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약 특별감찰관이 있었다면 임종석 비서실장과 조국 민정수석 등의 제 식구 감싸기 행태가 쉽게 이뤄지지 못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평화당 문정선 대변인은 자신의 비위는 감춘 채 보복성 징계라는 폭로전으로 물을 타는 감찰반원이나 감찰반원의 폭로에 맞대응하는 청와대도 민망한 건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