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인적쇄신 후폭풍 거의 없어...왜?

의미 없는 반발 대신 ‘차기 지도부'에 관심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8-12-19 00:02:00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가 21명 현역의원에 대한 당협위원장직 교체를 결정했으나 일부 의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게의치 않는다는 반응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백서제작 요구 등으로 비대위와 맞섰던 홍문종 의원은 18일 "여러 가지로 좋지 않은 기분인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비대위가 당에서 일할 시간이 전당대회까지, 굉장히 짧은 시간밖에 남지 않았는가 불필요한 마찰을 자꾸 일으킬 필요가 있겠는가"라는 말로 심경을 대변했다.

이날 오전 CBS 라디오에 출연한 홍 의원은 "생각이 다르다는 분들이 구태여 그렇게 하겠다는데 틀렸다고 얘기하면 저만 소인배가 될 것"이라면서 이 같이 밝혔다.

특히 그는 전대 이후 새 지도부 역할에 관심을 보이면서 "새 지도부가 총선을 치러야 될 분이고 더 나아가 대선에 관해 당의 중요한 결정을 하실 분이기 때문에 그때 에너지를 쏟는 것이 낫다"고 강조했다.

반면 6.13 지방선거 대패와 관련, 공천에 관여한 책임으로 당협위원장직을 빼앗긴 홍문표 의원은 지난 17일 “형평의 원칙에 안 맞다”면서 “엄청난 지방선거 총 책임을 사무총장에게만 지우냐"고 강력 반발했다.

이날 t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홍문표 의원은 며 “과거나 현재로 봐서 당 대표나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은 이번 발표에 얘기가 없고 사무총장 하나만 찍어서 여기다 책임을 묻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당 역사상 선거에서 대패하면 당의 4역(원내대표, 사무총장, 정책위의장, 정무장관)이 사의를 표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당시 지방선거에 관여했던 홍준표 전 대표, 김성태 전 원내대표, 함진규 전 정책위의장은 당협위원장이 이번 명단에 빠져있는 점을 꼬집었다.

특히 “당협위원장을 탈락시키고도 소명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절차없이 끝나면, 혁신과 개혁의 보자기를 씌워 발표할 한 것 밖에 안된다”면서 “사형선고를 받은 사람한테도 재심과 소명기회를 주는 거 아니냐”고 반발했다.


일각에서는 김성태 전 원내대표 이름이 빠진 데 대해서는 비대위를 꾸린 인연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한국당 관계자는 “인적쇄신 명단 발표로 인한 후폭풍이 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난 것은 임시체제인 비대위보다 내년 2월 이후 구성될 새로운 당 지도부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면서 “전대 경선이 한층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인적쇄신을 주도한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당내 일각에서 '다음 지도부의 번복 가능성'을 전망하는언급이 나오는데 대해 “어떻게 다음 지도부가 함부로 할 수 있다고 얘기할 수 있느냐”며 “우리 정치에 대한 폄하이고, 국민에 대한 모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속 의원들의 관심사는 유력 당권 주자에 집중되는 분위기다.

현재 당권주자로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비롯해 오세훈 전 서울시장, 정우택.김태호.김성태 등 전현직 의원들이 거명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당권주자는 황교안 전 총리다.

한국당 관계자는 "당을 나갔다 들어온 분은 자숙의 시간을 가져달라는 게 지난 번 원내대표 경선에서 표출된 당심"이라며 "전당대회도 그와 비슷한 흐름에서 치러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