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정당간 야합, 의원정수 확대 우려돼" 연동형 제동
정의당 "합의해놓고... 나경원 ‘말 바꾸기’ 납득 못해" 반발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8-12-21 03:00:35
이는 앞서 지난 15일 여야 5당이 합의하는 과정에 참여했던 한국당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가 최근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동의한 적 없다"고 밝힌 데 따른 반발로 보인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20일 “합의안의 문구 하나하나 손보고 서명했던 나 원내대표가 선거제도 개혁을 권력구조 개혁과 엮어 모호한 입장을 보이는 것은 납득 못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날 오전 당 상무위원회에 참석한 이대표는 “나경원 원내대표는 단지 단식을 풀기 위해 선거제도 합의에 서명한 것이냐”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어 “그 당시 나 원내대표의 신선하고 확고한 결단이라고 생각했는데 얼마 못가 한 입으로 두말을 하기 시작했다”면서 “합의 직후 혼란에 대한 명확한 나 원내대표의 입장을 바란다”라고 압박했다.
윤소하 원내대표도 “여야5당 합의문에 서명한 당사자로서 말씀드린다”며 “여야 5당이 합의한 사항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하는데 그 방안을 어떻게 할 것이냐, 그걸 적극 검토한다는 것이 팩트다. 또 의원정수와 관련해서는 10% 이내 확대 여부 등을 포함해 논의한다고 했다. 이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윤 원내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의 구체적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는 합의서에 서명하고도, ‘적극 검토’는커녕 ‘적극 저지’로 해석할 수밖에 없는 발언을 일삼고 있으니 참으로 기만적”이라고 쏘아붙였다.
하지만 나경원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지역에서 대표자를 뽑는 선거는 정당 만의 투표가 아니라 정당과 인물에 대한 투표"라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사표를 방지한다고 하지만, 사실상 지역선거구 제도를 부정할 수 있다”고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나 원내대표는 특히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 정당 간 야합이 있을 수 있다"며 "한 정당은 지역구 후보만 내 지역구 의원 당선에 몰입하고, 다른 정당은 일부러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아 타 정당의 지역구 후보 당선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비례대표 의석을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했을 때 의원정수가 무한정 확대될 위험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나 원내대표는 지난 15일 여야 4당 원내대표와 함께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는 큰 틀의 선거제 개혁 방안에 합의한 바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