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전대, 당심- 민심 엇갈린 결과에 논란...선출방식이 문제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9-02-25 12:18:52
오경훈 "죽었다 깨도 우리 당 찍지 않을 사람들 선택까지 왜 반영?"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로운 시도부 선출을 앞두고 자유한국당 전당대회가 종착역을 향하면서 당심과 민심이 엇갈린 지지율 결과가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일반 국민대상 여론조사(30%) 결과를 합산해 당 대표를 선출하는 현행 전대방식에 불합리성을 강조하는 주장들이 잇따라 제기돼 주목된다.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후보가 ‘어대황’(어차피 대표는 황교안)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대세론을 형성한 황교안 후보를 앞서는 등 엇갈린 당심과 민심이 막판 관전 포인트로 부상하며 논란을 일으키면서다.
이병태 카이스트 교수는 25일 "당대표를 반대당 당원들이 개입해서 뽑는게 말이 되냐'며 "이 바보 짓은 이제 멈추어야 한다"고 직격했다.
이 교수는 이날 '일반 여론 조사 오세훈 선방의 비결과 여론조사 투표의 문제' 제하의 페이스북 글을 통해 "엊그제 발표된 갤럽의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후보가 1위로 나온 비결은 여당의 역선택 결과라고 한다"면서 "전화 면접에서 지지후보를 물어서 지지 후보가 없다는 사람들에게 억지로 그래도 세명 중에서 누가 되면 좋겠냐고 묻는 방식"이라고 갤럽의 여론조사 방식을 언급했다.
특히 이 교수는 "이렇게 지지후보가 없다는 사람들은 당연히 여권성향일 가능성이 높고 이들이 5배 정도로 압도적으로 황교안 후보에 비해 오세훈을 선택했다는 것"이라면서 "여권 성향의 국민들 중에 세 후보 중에 오세훈이 압도적인 것은 너무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사안을 감안하면 당내 선거에 일반여론 조사를 반영하는 것은 반대당 지지자들에 의한 역선택의 여지가 충분하고 당이 정책과 입장을 정리하는데도 노이즈가 개입하는 것으로 많은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자유한국당 소속 오경훈 전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우리 당 당대표를 뽑는데 상대 당 지지층의 선택은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오 전 의원은 "우리 당 대표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민주당, 정의당, 민평당 등의 지지층 선택을 포함시키느냐"며 "우리 당이 당직자 선출의 기본 규정에서 당원 대 일반국민 반영비율을 7:3 (공직선거후보자 선출의 경우 5:5) 으로 정한 이유는 무엇이냐"고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 같이 주장했다.
이어 "공직선거후보자 선출의 경우에도 상대 당 지지층의 선택까지 반영할 필요가 없는 것처럼 당직자 선출에서는 더 말할 필요가 없다"며 "죽었다 깨어나도 우리를 찍지 않을 사람들의 의사까지 왜 우리가 받들어야 하느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오 전 의원은 '오세훈 37%, 황교안 22%, 김진태 7% 지지율로 발표된 최근 한국갤럽 여론 조사결과를 들어 "혹자는 이를 두고 '당심이 민심을 거스르면 안된다'고 한다"면서 "하지만 실내용을 조금만 살펴보면 도대체 무엇이 민심이라는건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오 전 의원에 따르면 (한국갤럽 조사) 1,000 샘플 중 정당 지지자는 민주당 396, 자유한국당 188, 정의당 86, 바른미래당 61, 민평당 9, 무당층 256로 나타났고 이 중 민주당 지지층 49%(194)가 오세훈, 11%(44)가 황교안, 5%(20)가 김진태 후보를 선호했다.
오 전 의원은 "민주당 지지층 중 오 후보를 선택한 194명은 자유한국당 총 지지 샘플인 188명보다도 많다"면서 "‘민심’이라고 간주하는 여론조사로 한다면, 간단히 민주당 지지층만으로도 우리 당 대표는 오세훈 후보(가 되는데) 이것이 말이 되는가"라고 반문했다.
같은 방식으로 살펴보면 바른미래당, 정의당 지지층이 선호하는 후보 역시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압도적이었다.
이에 대해 오 전 의원은 "이들 지지층까지 포함한 ‘여론조사 민심’대로라면 자유한국당 당대표는 不問可知, ‘Game is over’"라며 "만일 내게 민주당 당대표로 누구를 지지하느냐고 물어온다면, ‘가장 덜 민주당스러운’ 후보를 선택하지만 결코 그에게 투표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 전 의원은 "우리 당의 당직자 선출과정에서 우리 당 지지층의 의사를 잘 반영하며 무당파층의 의사까지 수렴하는 방향으로 규정이 개선되어야만 한다"면서 "더 나아가 공직후보자 선출에서도 이러한 방향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한편 전날까지 한국당 당원들로 구성된 선거인단 36만9952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및 현장 투표를 이틀간 실시한 결과 9만943명이 투표에 참여, 24.58%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