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등급화로 직원들 통제
심적부담 가중 역효과 초래
시민일보
| 2003-03-09 14:23:28
서울시 각 자치구가 친절 봉사행정 구현을 위해 직원들을 상대로 실시하고 있는 전화 친절 점검, 친절 마일리지 제도 등으로 인해 공무원들이 억지 친절을 강요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친절봉사의 생활화를 추진한다는 목적아래 설치된 ‘친절봉사반’ 운영은 직원들에게 상당한 심적 부담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k구 관계자는 “진정한 친절은 마음속에서 우러나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 것인데 구청에서는 직원들을 감시·점검하면서 강요된 친절을 주입하고 있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대부분의 자치구는 직원들의 친절을 상품화, 등급화 시키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직원들을 통제하고 있다.
또 s구에 근무하는 친절봉사반 운영 담당자도 “이 제도가 직원들의 저항이 큰 것이 사실”이라며 “직원들이 전화친절도 점검 등으로 인해 상당히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공무원들의 친절이 일반사기업 직원들과 같을 수는 없으며 실현 불가능한 민원은 거절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친절이 강요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실제 각 자치구의 친절봉사반 운영 현황을 보면 전화친절 점검은 물론 친절·불친절 사례신고제, 친절봉사 주민평가제 등을 운영하면서 직원들의 불친절 사례를 항상 점검하고 있다.
또 직원들의 경쟁력을 유발하기 위해 친절 마일리지 제도를 운영, 개인별 친절도를 항목별로 점수화해 관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친절, 불친절 공무원을 분류해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으며 친절도에 따라 점수를 가감하고 있는 이 제도로 인해 공무원들이 상당한 심적 압박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친절 공무원에게는 근무평정 시 우대, 전보 시 희망 부서 배치, 특별휴가, 국내외 시찰등의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있으며 불친절 공무원은 특별친절교육, 구두경고, 경위서 징구조치 등의 불이익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서정익 기자 ik11@siminnews.net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