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4당, 한국당 '패싱' 선거제 개혁안, 패스트트랙 상정 가능할까?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9-03-19 01:00:00
오신환 바른미래당 사무총장은 18일 선거제 개편안을 패스트트랙에 올려놓는 것을 반대하는 의원이 있는 것은 사실이며 소수이지만 그 경우 탈당을 감행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이날 MBC라디오 '심인보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오 총장은 "패스트트랙 자체를 반대하는 바른정당 출신 일부 의원들이 해당 안건을 패스트트랙에 태울 경우 곧바로 탈당하겠다고 했다는데"라는 사회자 질문에 "그런 상황"이라고 인정했다.
이어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게 ‘선거의 룰’이기 때문에 과연 한쪽 진영을 배제하고 패스트트랙으로 다수가 밀어붙이는 것이 맞는 것이냐, 과거에 이런 것이 전례가 없었다는 의견들을 피력하고 있다"면서 "일부 탈당하겠다고 밝힌 의원들이 있는 것으로 들었다"고 덧붙였다.
탈당의사를 밝힌 의원 숫자에 대해선 "전체 반대하는 분의 흐름이 1/3정도 되고 그 중에 또 연동형 자체를 패스트트랙으로 하는 반대하는 분들이 한 반 정도 된다"고 전했다.
현재 29석인 바른미래당 의원 중 패스트트랙 반대자는 5명 안팎으로 알려졌다.
그는 ‘의원정수 감축이 여론 호응을 받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보면 차라리 200석, 100석으로 줄이는 게 맞다”며 “우리는 300석 안에서 비례성과 대표성이 한 걸음 나갈 수 있는 방식을 고민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오 의원은 “한국당이 어떤 상황으로 갈지 (예측이)어렵다”며 “최종적으로는 한국당이 좀 더 협상에 임해 절충점을 찾고 타결하는 게 맞다”고 ‘합국당의 참여’를 강조했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 역시 같은 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 "패스트트랙에 들어가는 자체가 협상 촉진 역할을 하길 바란다는 의미"라며 자유한국당의 참여를 거듭 촉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선거제 개혁안 패스트트랙 추진 여부를 놓고 당내 이견을 보이는 것과 관련해 "바른정당 출신들 사이에서는 소위 공수처법과 검경수사법을 통과시키려는 민주당에 이용만 당하고, 나중에 선거법은 무산될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며 "출신에 관계없이 선거제 개혁의 필요성은 기본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이것을 패스트트랙으로 해야 하느냐에 대한 부담이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여기에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개인적 친분을 이용해 많은 압박을 가하고 있다"면서도 "민주당이 통과시키고 싶어 하는 법을 연계시키는 것이 선거법 통과 가능성을 높인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