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위기의 역사
김정기 한나라당 노병위원장
시민일보
| 2007-02-01 19:06:20
1차 북핵 위기 때는 미국이 플루토늄을 생산하는 흑연감속원자로를 동결시키고 경수로로 대체해주는 대신, 북한은 원자로 건설을 중단, 재처리하지 않으며 방사화학실험실을 폐쇄하는 등 몇 가지 제안이 따른 평화적인 제네바 합의가 이루어졌지요.
그러나 2002년 10월 시작된 제2차 북핵 위기는 북한의 핵실험 준비설이 제기되면서 북한의 고농축우라늄(HEU) 핵 프로그램 시인으로 불거져 미국 내 강경파를 중심으로 대북 군사옵션 채택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심각한 국면으로 치달았습니다. 북한이 1차 위기 때는 핵무기 개발 의도를 부인하면서 핵 개발을 중단한다고 했지만 2002년 10월 시작된 2차 북핵 위기 때는 북한이 핵 보유를 기정사실화하는 양상으로 전개시켰다는 점입니다.
이제 북한은 추정키로 6-10발 정도의 핵을 가진 핵보유국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북한이 핵무기를 경량화 소형화하는 데 성공하고, 10년 내 대륙 간 탄도 미사일을 개발한다면 미 본토까지 공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향후 소형화된 핵무기를 대륙간 탄도미사일에 탑재해서 미국이든 다른 대륙이든 타격할 수 있는 엄청난 일이 일어나지 말란 보장은 없지요. 자, 이제 북한이 핵을 보유했어요. 미국의 입장에서는 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서 전쟁을 치르는 방식과, 또 다른 핵 페기를 위해서 진일보된 평화안을 도출해야 하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북핵 위기 과정에서 보듯 미국은 제대로 된 협상을 하지 못한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북핵 관련해서 최종적으로 웃을 수 있는 승자는 불행하게도 바로 김정일입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