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드루킹 이후에도 ‘메크로 조작’ 수수방관하나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9-07-09 00:00:03

한국당, 문 대통령 사위 기사 댓글조작 의혹 고발장 제출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자유한국당이 최근 언론에서 제기한 문재인 대통령 사위 서모씨의 해외 취업 관련 기사 댓글 매크로 조작 의혹에 대해 네이버의 책임 있는 조치 및 검찰 수사를 통한 진실 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8일 한국당 미디어특별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달 18일 곽상도 의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6.3일부터 6.5일까지 태국 방콕에 있는 '타이 이스타제트' 사무실을 방문해 한국인 대표이사 박 모씨로부터 대통령 사위 서 씨가 지난해 7월 입사해 3주간 근무했다는 사실 등에 대해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곽 의원은 “이스타항공을 대리해 태국에서 총 판매권을 맡고 있는 ‘타이 이스타제트’의 박 모 대표 본인이 이스타항공과의 합작 건으로 이상직 이사장을 몇 번 만났고 사업계획서를 만들어서 직접 브리핑했다”는 인터뷰 내용을 공개하기도 했다.

문제는 언론이 기사화된 해당 기사 댓글과 관련해 수상한 흐름이 포착됐다며 '매크로 조작 의혹’을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실제 지난 달 18일 한국경제는 “문 대통령 사위 의혹 기사 댓글을 둘러싼 논란” 보도에서 ‘네이버 메인에 있는 문대통령 사위 의혹 기사에 달린 댓글의 판도가 순식간에 달라진 정황이 포착됐다’며 그 근거로 ▲당일 오후 12시 19분에 작성된 뉴시스의 「곽상도, "태국서 대통령 사위 특혜 취업 확인"...靑 "사실 확인 중"」 기사에서 댓글 게시 초기 곽 의원 지지글이 주종을 이뤘으나 약 1시간 30분 가량 지나면서 곽 의원을 비난하는 댓글들이 상위에 올라왔다 ▲순식간에 전체 댓글 흐름이 바뀌는 것도 이상한데, 이후 해당 뉴시스 기사에서 곽 의원 비난 댓글의 공감수와 비공감 수가 일제히 급증하다가 오후 2:50분 무렵부터 일관되게 약 320개로 비상식적으로 일정해졌다는 점을 제시했다.

미디어특위는 “댓글 조작이 의심되는 사건은 문 대통령 사위의 해외취업 관련 기사 뿐만이 아니다”라며 “2차 북미정상회담 관련 기사들, 국민연금 기금 수익률 하락 관련 뉴스기사에서도 매크로를 동원한 불법댓글 조작 의혹이 강력하게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대선 과정에서 드루킹 김동원씨 일당이 매크로를 활용해 댓글을 조작한 사실이 특검을 통해 밝혀졌고, 드루킹 일당과 공모해 댓글 조작을 벌인 혐의 등으로 기소된 김경수 경남지사도 1심 재판부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었다가 현재 항소심 진행 중“이라며 ”그럼에도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국회 과방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지금도 네이버가 매크로에 속수무책’이라는 박성중 의원의 질의에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 없다’고 답변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특위는 또 “드루킹조차 네이버가 매크로 동원 댓글 여론조작을 방조했다는 지적이 많은 상황에서, 네이버는 문재인 대통령 사위의 해외 취업 관련 기사 댓글 조작에 있어서 실효성 있는 대책도 없이 수수방관만 하고 있다”며 “관계당국에 신고 등 적극적인 수사 요청, 해당 ID 삭제 및 전수조사 등 네이버의 책임 있는 조치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유한국당에서는 문재인 대통령 사위 기사 댓글 조작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아이디 사용자들 및 해당 아이디를 도용 내지 빌려 사용하는 성명불상인들에 대해 ‘형법상 업무방해’ 및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오늘 검찰에 고발장을 제출한다"며 “향후 철저한 검찰 수사를 통해 불법적인 댓글 조작 의혹의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