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문제, 왜 꼭 쌀이어야 하나

이혜경

| 2013-04-09 16:46:00


Warning: getimagesize(http://www.siminilbo.co.kr/news/photo/Bdatafile/News/322528_1.jpg): failed to open stream: HTTP request failed! HTTP/1.1 404 Not Found in /home/simin/mobile_html/news/skin/default/display_amp.php on line 76
이혜경 중구의회 복지건설위원장
최근 뉴스를 통해 각종 화재사고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종로구 인사동 먹자골목 화재사건, 중구 남창동 식당 화재 등 가슴아픈 사건들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화재는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와 장애인, 화재예방을 위한 설비가 부족한 기초생활수급자, 어른들의 보살핌에서 벗어난 한부모 가정에서 위험성이 커진다. 경제가 어려워짐에 따라 화재의 위험이 큰 전기난로, 전기장판 등을 사용하는 가정이 늘고, 쪽방촌이나 주거밀집지역 등 화재진압이 어려운 지역이 존재하는 바 당연히 화재 예방을 위한 국가나 기관의 지원대상은 이러한 사회적 보호계층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현 복지체제하에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지원은 주로 생계를 이어가기 위한 지원에 멈춘다. 물론 쌀과 김치, 연탄, 아이들의 급식비, 생활비 지원 등 의식주 해결이야말로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나 그들의 삶을 위협하고 한순간에 무너뜨리는 것은 ‘피할 수 있었던’재난이기도 하다. 의식주 해결과 더불어 생활 속 사고위험을 낮추는 것 또한, 걱정없이 자녀들을 키우고 가정을 지키며 삶을 안전하게 이어나가기 위한 필수요소인 것이다.

또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소화기구와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설치 및 국민의 자율적인 안전관리를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해야 하는 만큼 가정에서 단독경보형 감지기 및 소화기구를 각자 비치할 수 없는 어려운 이웃에 대해 지역사회내에서 화재취약계층의 예방기구 설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생활 속 화재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큰 비용이 드는 것은 아니다. 화재 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고 경보음을 울리는 단독경보형 감지기, 그리고 어린와 노약자 등이 사용할 수 있는 일반스프레이방식의 간이소화 용구세트의 설치비용은 2만원이다. 구청에서 화재 취약계층을 위한 후원자를 물색하고 연계를 돕는 한편 지역내 의용소방대 등과의 협력으로 독거어르신, 장애인 가정 등에 화재예방기구 설치를 지원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우리 사회의 모두가 온전한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 단순히 의식주 해결만이 아니라 피할 수 있는 재난으로부터 가정을 안전하게 지키는 것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자 의무라면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구성원 모두의 애정어린 눈길과 관심이 있어야 한다. 나 하나, 내 가정의 안전은 주변의 작은 관심으로부터 지켜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이 순간 우리가 주변을 돌아보는 시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