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盧 +호남, ‘제 3당’ 나오나

고하승

| 2014-11-13 14:52:28

편집국장 고하승


최근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 ‘분당’과 ‘신당’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흘러나오고 있다.

그 흐름은 크게 두 갈래다.

우선 중앙에서는 당과 거리두기를 하는 안철수 김부겸 박원순 손학규 등 이른바 ‘비노(非盧)’ 인사들이 중심이 되는 ‘중도신당론’이 끊임없이 거론되고 있다. 반면 새정치연합의 텃밭이라고 할 수 있는 호남지역에서는 ‘호남신당론’이 탄력을 받고 있다.

하지만 중도신당론과 호남신당론 모두 ‘반(反)친노’를 기본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히 별개의 흐름으로 보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언젠가는 두 세력이 결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뜻이다.

실제 일주일 전인 지난 7일 오후2시 해남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한 강연회에서 호남신당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당시 새정치연합 박주선 의원은 “민주당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문재인을 중심으로 한 친노세력들이 당권을 잡기 위한 욕심을 내려놓아야 한다”며 “새정치연합이 우리 뜻대로 고쳐지지 않으면 중대한 결단을 내릴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그래도 고쳐지지 않으면 집권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집권 불가능한 사람들과 한 지붕에 살기보다는 가능성의 길을 찾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강경일변도가 아니라 중도 보편적인 건전한 ‘보수중도 개혁 정당’으로 탈바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보다 앞서 지난 달 31일 순천에서 열린 강연회에서는 정대철 새정치연합 상임고문이 “전당대회까지 당이 환골탈태하고 개혁과 혁신을 통해 60년 전통만 남기고 새롭게 국민과 당원 기대치에 맞게 해야 한다”며 “그렇게 안 될 경우 새로운 정당도 만들 수 있다”고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이 강연을 주최한 국민희망시대 포럼의 정진우 회장은 “호남지역을 직접 돌아보고 접촉해 본 밑바닥 민심은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관심이 거의 사라졌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아마도 호남심당론이 탄력을 받을 것이란 말을 이런 식으로 표현한 게 아닌가 싶다.

중앙무대도 신당론으로 시끄럽기는 마찬가지다. 호남지역보다 더하면 덜했지 결코 덜하지 않다.

실제 내년 2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새정치연합은 지난 12일 첫 전대 준비위원회를 열었지만 예비후보들의 감정 다툼은 이미 갈 데까지 갔다.

특히 '부글부글' 끓는 쪽은 비노계이다. 최근 비노계 인사들로부터 당권-대권분리론이 제기되는 것은 이런 분위기가 반영된 것이다.

실제 박 의원은 “당권과 대권은 분리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라며 “정부를 견제 감시하고 협상과 양보를 하는 과정에서 당 대표가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사례를 기억할 수 있다. 안 전 공동대표도 가장 높은 차기 대권후보의 지지도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약 4개월의 대표를 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며 “대권 후보는 역시 국민 속으로 들어가서 정책 개발을 하는 모습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486그룹의 우상호 의원도 "당권과 대권의 분리에 동의한다. 대선 후보는 전대에 출마하지 않는 것이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지 않고, 대표 선출 이후에 다른 계파의 오해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며 "안철수 같은 분이 대표가 된 후 단수 지지율이 된 것을 보면서 보호해야 하는데 (대권 주자를) 대표로 만들어 지지율을 떨어트리는 악순환을 하느냐 하는 생각이 든다"고 가세했다.

하지만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이런 주장에 대해 “민주정당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하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친노계가 당권을 장악할 경우 당과 거리두기 행보를 보이고 있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김부겸 전 의원 등이 당내 반(反) 친노인사인 조경태 의원 등과 함께 탈당을 결행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들린다.

특히 이들이 호남신당론을 주장하는 세력과 힘을 모으면, 오히려 신당이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율을 단숨에 능가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시나리오에 불과하다. 다만 밑바닥에서부터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신당론이 언젠가는 폭발할 것이고, 그러면 그 파괴력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점은 분명해 보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