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여론조사 경선 후유증 심각
김무성-문재인 책임론 부각 가능성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6-03-16 15:25:25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여야가 4.13 총선을 앞두고 실시한 이른바 여론조사 방식의 ‘상향식 공천’에 대한 문제점이 속속 드러나고 있어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16일 “여론조사 경선은 본선경쟁력보다는 단순히 인지도 높은 후보가 무조건 유리한 방식”이라며 “상대적으로 본선 경쟁력이 떨어지는 후보의 승리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단순 인지도에 절대적 영향을 받는 여론조사로는 야당 후보와 맞붙었을 때 경쟁력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며 “종로에 오 세훈 전 서울시장이 박진 전 의원을 꺾고 승리한 것이 그 단적인 사례가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더불어 민주당에서는 ‘안심번호’ 문제가 대두됐다.
경기도 고양을 더불어민주당 경선에 참여했던 문용식 예비후보는 전날 “안심번호 경선과정에서 당락을 바꿀 수 있는 시스템 오류가 확인됐다”며 중앙당공직선거후보자추천재심위원회에 결선 투표 중단 및 안심번호 전수조사를 요구했다.
문 예비후보가 당 재심위에 제출한 재심신청서에 따르면, 결선 ARS 투표 과정에서 1차 경선 당시 ARS에 포함되지 않았던 대상에 전화가 걸려 왔다.
앞서 14일 밤에 경선결과가 발표된 고양을 지역은 후보자 간 ARS여론조사 격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 예비후보는 33.6%, 송두영 예비후보는 35.2%, 정재오 예비후보는 34.3%로 오차범위 내 초박빙이었다.
이에 따라 문 예비후보는 "현 상황이 선거의 당락을 좌우할 만큼 큰 상황"이라며 "결선투표를 중단하고 5만명 안심번호 통신기록에 대한 전수조사 이후 재경선 실시"를 요구했다.
한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는 지난 해 사실상 여론조사 경선방식에 대해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 이들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게 정치권 전반의 중론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