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57.2% > 문재인 32.5%
반기문 56.1% > 안철수 32.2%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6-05-30 14:10:09
潘 28,4% > 文 16.2% > 安 11.9%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차기 대선 주자의 지지율을 묻는 여론조사에서 보수층(40.2%), 중도층(25.4%)은 물론 진보층(14.4%)에서도 상당히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중앙일보의 긴급 여론조사에 따르면, 반 총장과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가상 양자대결에서 반 총장은 57.2%로 문 전 대표(32.5%)를 큰 차이로 따돌렸다. 반 총장과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와의 가상 양자대결에서도 56.1%를 얻은 반 총장이 32.2%의 안대표를 크게 앞섰다.
실제 스스로를 보수성향이라고 밝힌 유권자의 40.2%가 반 총장 지지 의사를 밝힌 반면, 문재인 전 대표와 안철수 대표 지지는 각각 9.2%씩에 그쳤다.
또한 중도성향이라 밝힌 유권자의 25.4%가 반 총장을 지지했으며, 문 전 대표는 15.0%, 안철수 대표는 12.7%를 지지한다고 했다. 중도층에서도 반 총장이 1위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반 총장은 진보성향의 유권자들에게도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았다. 진보성향 유권자들은 문 전 대표를 28.4%로 가장 많이 지지했으나, 안 대표(14.2%)보다는 반 총장(14.4%)이 오차범위내에서 약간 앞섰다.
다자구도에서도 28.4%를 얻은 반 총장이 문 전 대표(16.2%)와 안 대표(11.9%)를 제치고 선두를 달렸다.
지역별로 보면 다자구도에서 반 총장을 꼽은 응답률이 TK에서 45.1%를 기록해 반 총장의 고향인 충청(30.6%)보다 무려 14.5%포인트 높았다.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지난 27~28일 양일간 지역·성·연령 기준 할당추출법에 따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 대상으로 유선(415명)·무선(585명) RDD(임의전화걸기)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유·무선 평균 응답률은 19.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1%P다.
자세한 조사 개요는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차기 대선 주자의 지지율을 묻는 여론조사에서 보수층(40.2%), 중도층(25.4%)은 물론 진보층(14.4%)에서도 상당히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중앙일보의 긴급 여론조사에 따르면, 반 총장과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가상 양자대결에서 반 총장은 57.2%로 문 전 대표(32.5%)를 큰 차이로 따돌렸다. 반 총장과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와의 가상 양자대결에서도 56.1%를 얻은 반 총장이 32.2%의 안대표를 크게 앞섰다.
실제 스스로를 보수성향이라고 밝힌 유권자의 40.2%가 반 총장 지지 의사를 밝힌 반면, 문재인 전 대표와 안철수 대표 지지는 각각 9.2%씩에 그쳤다.
또한 중도성향이라 밝힌 유권자의 25.4%가 반 총장을 지지했으며, 문 전 대표는 15.0%, 안철수 대표는 12.7%를 지지한다고 했다. 중도층에서도 반 총장이 1위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반 총장은 진보성향의 유권자들에게도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았다. 진보성향 유권자들은 문 전 대표를 28.4%로 가장 많이 지지했으나, 안 대표(14.2%)보다는 반 총장(14.4%)이 오차범위내에서 약간 앞섰다.
다자구도에서도 28.4%를 얻은 반 총장이 문 전 대표(16.2%)와 안 대표(11.9%)를 제치고 선두를 달렸다.
지역별로 보면 다자구도에서 반 총장을 꼽은 응답률이 TK에서 45.1%를 기록해 반 총장의 고향인 충청(30.6%)보다 무려 14.5%포인트 높았다.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지난 27~28일 양일간 지역·성·연령 기준 할당추출법에 따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 대상으로 유선(415명)·무선(585명) RDD(임의전화걸기)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유·무선 평균 응답률은 19.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1%P다.
자세한 조사 개요는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