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설현장 사망자 20.3% 증가

고수현

smkh86@siminilbo.co.kr | 2017-07-04 17:15:48

재해자 수도 10.6% 늘어… 시공능력↓ 환산재해율↑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지난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사망한 근로자가 184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20.3% 증가한 규모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0개 건설업체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가 전년 대비 31명 늘어났다고 4일 밝혔다. 사망자를 제외한 재해자 수는 3837명으로 전년 대비 369명(10.6%)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최근 5년간 평균 환산 재해율은 2012년 0.43%를 기록한 뒤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지난해에는 0.57%까지 올랐다.

환산 재해율은 사망 사고에 대해서는 일반 재해의 5배 가중치를 부여하고, 원청뿐 아니라 하청업체 재해까지 포함해 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 비율을 산정한 것이다.

고용부에 따르면 환산 재해율은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1군(1∼100위) 기업은 0.34%를 기록했으나 2군(101∼300위) 0.88%, 3군(301∼600위) 1.40%, 4군(601∼1000위) 1.85%로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낮을수록 재해율은 올라갔다.

고용부는 환산재해율이 높은 요진건설산업, 극동건설, 동원개발, 서희건설 등 99곳을 대상으로 정기감독을 실시하고, 615개사에 대해서는 공공 건설공사 입찰 평가 시 감점 등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한편 50대 대형 건설업체의 산업재해예방활동 점수(100점 만점)를 보면 호반건설(40점), 대우건설(50점), 삼성물산(54.5), 현대엔지니어링(54.4점) 등이 낮은 평가를 받았다.

산업재해예방활동 점수는 사업주의 안전보건교육 참여 횟수, 안전관리자 정규직 비율 등을 따져 산출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5월22일 경기도 남양주 다산신도시 진건지구 공동주택 신축공사장에서 발생한 타워크레인 전도사고로 근로자 3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삼성물산은 같은날 서울지하철 9호선 건설공사장에서 터널굴착장비 전도 사고로 2명이 숨졌다.

고용부는 산재 발생 감소 및 예방을 위해 건설현장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