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150억대 비리 혐의' 정우현 前 MP그룹 회장 구속 기소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17-07-26 09:00:00
치즈 통행세·친인척 허위 등재… 횡령 91억·배임 64억
[시민일보=이대우 기자]미스터피자 창업주 정우현 전 MP그룹 회장(69)이 결국 재판에 넘겨졌다. 정 전 회장은 탈퇴한 가맹점주들에게 보복을 하고 총 150억원대의 횡령·배임을 저지른 혐의를 받는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는 정 전 회장을 공정거래법 위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 업무방해 등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고 25일 밝혔다.
또 동생인 정 모씨(64)와 MP그룹 최병민 대표이사(51), 비서실장 등도 불구속 기소됐다.
정 전 회장은 총 91억7000만원의 회삿돈을 횡령하고, MP그룹과 자신이 지배하는 비상장사에 64억6000만원의 손해를 떠넘긴 혐의를 받는다.
검찰에 따르면 정 전 회장은 2005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치즈 유통단계에 동생이 운영하는 두 개 업체를 끼워넣어 '치즈 통행세'를 받는 방식으로 57억원을 횡령하고 2008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가맹점주들이 낸 광고비 중 5억7000만원을 광고와 무관한 회사 운영자금으로 사용한 혐의를 받는다.
이를 포함해 친인척과 측근을 직원으로 허위 등재해 29억원의 급여를 지급하는 등 총 150억원대의 횡령·배임형의를 받는다.
아울러 정 전 회장은 딸과 아들의 장모를 계열사 임원으로 등재해 수억원의 허위 급여와 법인카드, 외제차량 등을 제공한 것으로 검찰 수사결과 드러났다. 딸의 가사도우미까지 직원 급여를 주고 해외여행에 동반한 사실도 검찰 수사에서 드러났다.
검찰은 "MP그룹은 소액주주가 1만1277명에 달하는 상장법인임에도 기업을 사유화했다"며 "회사 자금을 이용해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제왕적 기업문화'에 물든 오너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 전 회장은 가맹본사의 '갑질'에 항의하며 탈퇴한 가맹점주들이 '피자연합'이라는 새 피자 가게를 열자 이들이 치즈를 사지 못하게 방해하고, 인근에 직영점을 내 전국 최저가 수준의 저가 공세를 펴는 등 보복을 가한 혐의도 받는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정 전 회장이 본보기를 보이겠다며 다각적 보복을 지시했고, 임직원들이 '초전박살 내겠다', '조속히 추진해 평정하겠다'고 보고하는 등 보복 출점의 의도성이 다분하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탈퇴한 가맹점주가 자살에 이르는 등 '을의 슬픈 외침'이 장기간 외면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프랜차이즈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수사했다"며 "앞으로도 각종 '갑질' 횡포로 인한 불공정 거래행위를 적극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미스터피자 창업주 정우현 전 MP그룹 회장(69)이 결국 재판에 넘겨졌다. 정 전 회장은 탈퇴한 가맹점주들에게 보복을 하고 총 150억원대의 횡령·배임을 저지른 혐의를 받는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는 정 전 회장을 공정거래법 위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 업무방해 등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고 25일 밝혔다.
또 동생인 정 모씨(64)와 MP그룹 최병민 대표이사(51), 비서실장 등도 불구속 기소됐다.
정 전 회장은 총 91억7000만원의 회삿돈을 횡령하고, MP그룹과 자신이 지배하는 비상장사에 64억6000만원의 손해를 떠넘긴 혐의를 받는다.
검찰에 따르면 정 전 회장은 2005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치즈 유통단계에 동생이 운영하는 두 개 업체를 끼워넣어 '치즈 통행세'를 받는 방식으로 57억원을 횡령하고 2008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가맹점주들이 낸 광고비 중 5억7000만원을 광고와 무관한 회사 운영자금으로 사용한 혐의를 받는다.
아울러 정 전 회장은 딸과 아들의 장모를 계열사 임원으로 등재해 수억원의 허위 급여와 법인카드, 외제차량 등을 제공한 것으로 검찰 수사결과 드러났다. 딸의 가사도우미까지 직원 급여를 주고 해외여행에 동반한 사실도 검찰 수사에서 드러났다.
검찰은 "MP그룹은 소액주주가 1만1277명에 달하는 상장법인임에도 기업을 사유화했다"며 "회사 자금을 이용해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제왕적 기업문화'에 물든 오너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 전 회장은 가맹본사의 '갑질'에 항의하며 탈퇴한 가맹점주들이 '피자연합'이라는 새 피자 가게를 열자 이들이 치즈를 사지 못하게 방해하고, 인근에 직영점을 내 전국 최저가 수준의 저가 공세를 펴는 등 보복을 가한 혐의도 받는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정 전 회장이 본보기를 보이겠다며 다각적 보복을 지시했고, 임직원들이 '초전박살 내겠다', '조속히 추진해 평정하겠다'고 보고하는 등 보복 출점의 의도성이 다분하다고 판단했다.
검찰은 "탈퇴한 가맹점주가 자살에 이르는 등 '을의 슬픈 외침'이 장기간 외면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프랜차이즈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수사했다"며 "앞으로도 각종 '갑질' 횡포로 인한 불공정 거래행위를 적극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