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철 전 MBC 사장 “국정원 방송장악 문건 받은 적 없다”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17-11-07 09:00:00
피의자 신분으로 檢 출석
취재진 질의에 의혹 부인
▲ 김재철 전 MBC 사장이 6일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으로 들어서며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6일 김재철 전 MBC 사장이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소환됐다.
김 전 사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과 공모해 정권 차원의 '공영방송 장악'의 실행자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 전 사장은 "제 목숨을 걸고, 단연코 MBC는 장악할 수도, 장악될 수도 없는 회사"라고 말하며 자신에게 제기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김 전 사장은 이날 오전 10시께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한 소회를 묻는 취재진에게 이같이 답하며 "MBC 공채 기자로 입사해 31년 만에 사장이 됐다"며 "내가 국정원 담당자를 왜 만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또한 "국정원 담당자로부터 (방송장악 관련) 문건을 받거나 듣거나 본적도 없다"며 "MBC는 본부별로 운영되는 체제다 보니 내가 보도국장이나 편성국장에게 특정 기사나 프로그램을 빼라고 지시하는 일은 해서도 안 되고 있을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우룡 전 이사장이 국정원 문건을 받았다'는 언론 보도를 거론한 김 전 사장은 "김 전 이사장이 문건을 받았다고 하지 않는가"라며 "검찰이 나를 철저히 조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국정원 정치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김 전 사장이 원세훈 당시 원장 등 국정원 수뇌부와 '방송장악'을 공모한 것으로 보고 국정원법상 직권남용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사장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MBC 사장으로 재직한 당시 국정원으로부터 'MBC 정상화 문건'의 내용을 전달받아 김미화씨 등 연예인을 방송 프로그램에서 하차시키고 퇴출 대상으로 분류된 기자·PD 등을 대거 업무에서 배제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당시 MBC 담당 국정원 정보관으로부터 김 전 사장에게 'MBC 정상화' 문건 자체를 건넨 것은 아니지만, 그와 만나 주요 내용을 전달하고 상의한 사실이 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MBC노조) 조합원 50여명은 이날 서울중앙지검 입구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김 전 사장 처벌을 촉구했다.
취재진 질의에 의혹 부인
김 전 사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과 공모해 정권 차원의 '공영방송 장악'의 실행자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 전 사장은 "제 목숨을 걸고, 단연코 MBC는 장악할 수도, 장악될 수도 없는 회사"라고 말하며 자신에게 제기된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김 전 사장은 이날 오전 10시께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한 소회를 묻는 취재진에게 이같이 답하며 "MBC 공채 기자로 입사해 31년 만에 사장이 됐다"며 "내가 국정원 담당자를 왜 만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또한 "국정원 담당자로부터 (방송장악 관련) 문건을 받거나 듣거나 본적도 없다"며 "MBC는 본부별로 운영되는 체제다 보니 내가 보도국장이나 편성국장에게 특정 기사나 프로그램을 빼라고 지시하는 일은 해서도 안 되고 있을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우룡 전 이사장이 국정원 문건을 받았다'는 언론 보도를 거론한 김 전 사장은 "김 전 이사장이 문건을 받았다고 하지 않는가"라며 "검찰이 나를 철저히 조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국정원 정치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김 전 사장이 원세훈 당시 원장 등 국정원 수뇌부와 '방송장악'을 공모한 것으로 보고 국정원법상 직권남용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사장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MBC 사장으로 재직한 당시 국정원으로부터 'MBC 정상화 문건'의 내용을 전달받아 김미화씨 등 연예인을 방송 프로그램에서 하차시키고 퇴출 대상으로 분류된 기자·PD 등을 대거 업무에서 배제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당시 MBC 담당 국정원 정보관으로부터 김 전 사장에게 'MBC 정상화' 문건 자체를 건넨 것은 아니지만, 그와 만나 주요 내용을 전달하고 상의한 사실이 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MBC노조) 조합원 50여명은 이날 서울중앙지검 입구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김 전 사장 처벌을 촉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