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온라인시장 진출 지원기업 기존 13개사에서 20개사로 확대 지원

[부산=김재현 기자]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가 2018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아세안 온라인시장 진출지원사업」의 지원기업을 기존 13개사에서 20개사까지 확대하고, 코로나19로 인상된 물류비용도 한시적으로 해외배송비의 30%까지 지원한다.
또한, 해외물품 판매전용 온라인 플랫폼도 기존의 소피, 큐텐 3가지 채널에서 라자다를 신규 추가하고 진출 국가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 베트남까지 확대 추진한다.
이 사업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 입점을 어려워하는 기업을 위해 페이지 제작 및 번역, 온라인 마케팅, CS컨설팅 지원, 물류·운송대행까지의 과정 전반을 지원한다.
시는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해외전시회, 무역사절단 등 직접 대면 마케팅이 상반기뿐만 아니라 하반기에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해 지난 4월 ‘포스트코로나 3단계 경제대응 전략’을 수립 발표했다.
그 중 2단계인 ‘제조업 경영안정화’ 대책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안정지원을 위한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 비대면 수출마케팅사업을 확대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단계별 대응전략의 일환으로 아세안 이외 지역별 온라인 플랫폼 진출 지원을 위해 미주지역은 아마존닷컴, 중국은 알리바바와 인도는 아마존, 플립카드, 스넵딜, 샵클루 등 129개사에 우수한 부산 기업제품의 입점을 지원하고 있다.
이외 올해 초 시가 계획했던 해외마케팅 55개 사업 중 전시회·사절단 등 12개 사업을 온라인 마케팅 등 비대면 32개 사업으로 재구조화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수출타격 최소화와 온라인 무역대응력 강화를 위해 총력을 다 하고 있다.
변 권한대행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수출마케팅의 방향 전환을 위해 급성장이 예상되는 정보통신기술(ICT).콘텐츠 등 새로운 수출 먹거리를 발굴하고 지역기업이 현지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비대면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며, “아울러 정부 및 시가 추진하는 해외마케팅지원사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통합시스템도 올해 안에 개편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