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서울시의원, "교통방송, 서울시 재원 의존 여전"

    지방의회 / 이대우 기자 / 2020-01-13 15:03:20
    • 카카오톡 보내기
    방송 자율성 침해 우려 표명
    상업광고 허용등 자체적 재원확보 노력 촉구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소영 의원(바른미래당·비례)은 새해를 맞아 재단화를 목전에 두고 있는 의 재정 건전성 및 자율성에 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재단 설립 이전의 교통방송의 법적 지위는 ‘서울시 교통본부 소속 사업소’였다. 서울시의 한 부서로서 서울시 예산을 지원받고 있었다. 이로 인해 서울시장의 정치적 성향에 따른 자율성 침해, 방송의 사유화, 편파방송 논란이 일어 오랜 기간 논의가 진행됐고, 공공성·공정성·독립성 등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미디어 재단 tbs’로 독립재단화를 추진한 것이다.

    김 의원은 "교통방송의 독립재단화에 있어 핵심은 재원을 어떻게 확보해 서울시로부터 실질적인 독립을 할 수 있는가"라면서 "교통방송이 미디어재단으로 독립하지만 매년 400억원가량의 예산을 서울시로부터 지원받는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을 비롯한 문화체육관광위 위원들은 2019년 임시회·정례회 등에서 교통방송 FM의 상업광고 허용 여부에 관해 수차례 지적했으며, 교통방송 대표는 방송통신위원회와 사전조율이 수월히 진행되고 있다면서 반드시 성사시킬 것을 시민에게 약속했다.

    그러나 2019년 12월26일 방통위의 tbs 방송사업자(법인분할) 변경허가 승인 내용 안에 상업광고 허용은 없었다. 변경허가 조건으로 6개월 이내에 서울시로부터 독립적인 지배구조 확립을 위한 방안 등을 제출하고, 차기 재허가시 이행실적을 제출해 심사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있었다. 또한 공적재원 운용의 적정성 및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위원회 설치를 권고받았다.

    김 의원은 “재단 설립 이후에도 서울시로부터 출연금을 받으며 재정적으로 의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공정성·정치적 중립성 등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에 반해 교통방송은 상업광고 허용이라는 장담할 수 없는 공약(空約)을 내세웠고,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며 일침을 가했다.

    김 의원은 “방통위의 변경허가조건에 따라 교통방송은 단기적으로 상업광고 없이 서울시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독자적인 재원 확보 방안을 면밀히 검토해야 하며, 중장기적으로 상업광고 허용 승인을 받기 위한 노력과 상업광고 허용 승인 이후에 대한 계획 또한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교통방송이 재정 독립을 이루지 못한다면 재단에 대한 출연금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고, 이는 소중한 시민 세금이 효율적으로 쓰이지 못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기에 재단 남설, 방만하고 미진한 경영이라는 낙인이 찍히지 않기 위해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