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기홍 기자] 김완규 의원은 고양시 덕이동에 소재한 ‘고양시 현충공원’과 ‘고양현충전시관’의 명칭이 ‘고양현충공원’, ‘고양현충역사공원전시관’의 명칭과 혼용되고 있어 혼란을 준다며 명칭을 통일할 것과 2018년 시정 질의 당시 언급한 고양시 현충공원 부지의 70%를 차지하는 산림청 소관 국유지의 고양시 매입 요구했다.
![]() |
▲ 사진 = 김완규의원 |
고양시가 사람과 나무가 공존하는 생태·환경의 도시를 만들겠다고 전국 최초로 선포한 ‘나무권리선언’과는 달리 중산동 청소년시설부지 내에 북한에 전달할 계획으로 가식한 1억원 상당의 사과, 배, 자두, 살구나무 2만 그루가 유실수의 기능을 상실하고 죽어가는 방치된 나무들에 대한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질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최근 인사권 불만으로 인한 소동을 언급하며 원칙과 배려가 살아있는 인사권 확대를 통해 성취와 보람이 넘쳐나는 고양시를 만들 것, 감시와 견제라는 의회의 존재 이유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의회와의 소통과 협치를 부탁하였다.
이에 대해 이재준 시장은 「고양시 현충공원 관리 및 운영조례」에 맞춰 관련 홈페이지 및 검색사이트 검색결과를 정정하고 전시관의 경우 조례상 공원명칭인 ‘고양시 현충공원’에 맞추어 ‘고양시 현충전시관’으로 건축물대장과 등기부 등본, 전시관명칭 표기시설(간판등) 변경이 진행 중이라 하였다. 그리고 2005년 당시 적지 않은 사업비로 매입이 중단된 현충공원 내 국유지를 국가유공자 예우차원의 시각에서 접근하여 산림청과 무상양여 방안에 대하여 계약 만료 전까지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다각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되 최종 상호 입장의 변화에 따라 매입을 위한 재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경우 시의회와 협의하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중산동 청소년수련시설부지에 방치되고 있는 유실수에 대해서는 2012년 4월 고양시 시민단체들이 주축이 된 고양통일사과나무심기운동 본부의 주도로 안곡습지공원에 “청소년 평화통일의 숲”을 조성하고 시민단체들이 마련한 성금으로 식재한 묘목 2만 그루를 북측에 전달 예정이었으나, 남북관계 악화로 전달되지 못하였고 이 나무들의 생태환경 개선을 위해 2013년 이후 관내 학교 등에 일부를 분양하여 현재 5천 그루 정도가 남아 있다고 하며 남아있는 유실수에 대해 조성 당시 사업주체인 시민단체에 조속한 처리를 요구하고 있으며, 빠른 시일 내 해소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원칙과 배려가 있는 인사와 의회사무국 직원인사 시 의회와의 소통과 협의 요청에 대해서는 민선7기는 5대 인사 원칙과 학연·지연·인맥 등 업무 외적인 요소를 철저히 배제한 능력과 성과중심의 탕평인사를 하고 있다고 하며 지난 의회사무국 직원 인사와 관련한 일련의 사례들을 반면교사로 삼아 더욱 엄격한 원칙을 적용하고 진정성 있는 배려를 통한 인사 운영을 하겠다고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