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수색 중단을"·· ·해경 "NLL 남쪽만 수색"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최근 북한의 피격으로 사망한 해양수산부 공무원의 시신을 찾기위한 해양경찰청의 집중 수색이 계속되고 있다.
이 공무원은 서해 북단 소연평도 해상에서 사라졌다가 북한에서 피격돼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양경찰청은 실종된 해수부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어업지도원 A씨(47)의 시신과 소지품 등을 찾기 위해 27일 연평도 인근 해상을 8개 구역으로 나눠 집중 수색을 실시했다.
이날 수색에는 해경과 해군의 함정 29척과 어업지도선 10척 등 총 39척과 항공기 6대가 투입됐으며, 연평도 서방부터 소청도 남방 해상까지 수색을 진행했다.
해경은 500톤급 함정 4척, 300톤급 3척, 소형함정 6척 등 13척과 항공기 2대를, 해군은 함정 16척과 항공기 4대를 각각 투입했다.
이와 함께 옹진군 등도 어업지도선 10척을 수색에 동원했다.
이는 전날 수색에 투입된 해경 경비함정 12척, 해군 함정 16척, 어업지도선 8척 등 선박 36척과 항공기 5대에 비해 확대된 규모다.
해경은 A씨의 시신이나 소지품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남쪽 지역으로 떠내려올 가능성에 대비해 수색하고 있다.
한편 북한은 남측의 공무원 수색 작업을 벌이는 과정에서 북측 영해를 침범하고 있다며 중단하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북한은 자신들의 해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실종 공무원에 대한 수색 작업을 계획했으나 남측이 북측 해역을 침범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해경 관계자는 “해군이 아닌 해경 기준으로는 NLL 남쪽에서만 수색이 이뤄지고 있다”며 “오늘도 함정과 인원을 늘려 계속 수색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A씨의 실종 전 행적 등을 수사하고 있는 해경은 지난 25일 군 당국에 A씨 월북 정황과 관련한 자료를 요청했으나 이날 오전 현재까지도 관련 제공 여부에 대한 답변을 받지 못한 상태다.
앞서 군 당국은 해경의 협조 요청에 당장 자료를 제공하기는 어렵고 검토 후 이달 28일까지는 자료 제공 여부를 알려주겠다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경은 A씨의 자진 월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A씨가 실종 직전 타고 있던 무궁화 10호와 13호에 있는 컴퓨터(PC)를 대상으로 디지털포렌식 작업을 하며 북한 관련 검색 기록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또 지난 18일부터 고장 난 선내 폐쇄회로(CC)TV 2대를 복원해 고의 훼손여부를 살피며, 무궁화 10호의 행적을 기록하는 GPS(위성위치항법시스템) 플로터 기록을 분석하고 있다.
연평도 해상에 있던 무궁화 10호는 해경의 현장 조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전날 출항지인 전남 목포로 돌아갔다.
해경은 A씨가 실종 직전까지 탔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 내부를 지난 24일 1차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의 휴대전화나 유서 등을 발견하지 못했고, 선내에 설치된 CCTV 2대는 모두 고장 나 그의 동선도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군 당국과 정보당국은 북한 통신 신호를 감청한 첩보 등을 근거로 A씨가 자진 월북했다는 입장이지만 A씨의 형은 “말이 안 된다”며 반발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