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코로나 대출사기 기승"

    사건/사고 / 홍덕표 / 2021-03-01 14:21:27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코로나19 사태를 틈타 자영업자나 금전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절박한 사정을 악용한 금융기관 사칭 대출 사기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정부가 정책자금으로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것을 악용해 '정부정책자금 지원' 등의 문구를 동원하는 경우가 많아 더 큰 피해가 우려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일 "코로나19로 취약한 분들이 많다 보니 금융기관을 사칭한 대출 문자에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며 "코로나가 장기화하고 시중에 자금이 많이 풀리다 보니 더욱 기승을 부리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은행 등 금융권에서는 먼저 무작위로 대출 권유 또는 안내 문자를 보내지 않는다. 간혹 대출 관련 문자가 오더라도, 기존에 이뤄진 대출의 만기 연장 등을 안내하는 등 사후관리 목적에 국한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에서 홍보 차원에서 고객에게 상품 안내 문자를 보내는 일은 종종 있지만, 본점 준법감시부의 승인을 받아 엄격하게 문구 등이 엄격하게 관리된다"며 "그 대상 역시 개인정보의 마케팅 활용에 동의한 고객에 한정된다"고 강조했다.

     

    사기 문자들은 금융기관 이름부터 정확하게 표기하지 않거나 금리가 지나치게 낮게 안내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대출 가능 여부를 알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대출 가능한 금액이 얼마이며 금리 수준이 얼마라고 안내하는 문구가 있다면 더욱 의구심을 가져야 한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특정 은행의 지점 근무자의 이름까지 사칭하는 사례도 확인된다. 사기범이 실제 은행 담당자의 이름을 팔아 속이는 것으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미 돈을 부친 후 피해 사실을 알아차렸다면 즉시 금융사 콜센터나 금감원 콜센터에 전화해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피해구제를 신청해야 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홍덕표 홍덕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