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업 청년·예술인·운수 종사자등 핀셋지원도
구는 정부 4차 재난지원금에서 소외된 사각지대를 자세히 살펴 ▲소상공인 지원 ▲취약계층 지원 ▲피해업종 등 지원 ▲필수노동자 지원 등 4개 분야 17개 세부사업으로 구분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소상공인 지원방안으로 먼저, 정부의 4차 재난지원금과 별개로 집합금지 및 집합제한 업종 1만450곳의 소상공인에게 업체당 60만원에서 최대 150만원의 ‘서울경제 활력자금’을 지원한다.
집합금지·영업제한 업종으로 폐업한 사업장 1920곳에도 1인당 50만원을 지급하며, 소상공인 1000명에게 2000만원 한도 내에서 보증료 0.5%와 1년간 무이자 융자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만 19~34세 미취업자 중 최종학력 졸업 후 2년 이내인 6800명에게 1인당 50만원의 ‘미취업 청년 취업장려금’을 양천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하며,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차상위 계층 등 저소득 취약계층 2만2000여명에게 생활지원금을 1인당 10만원 지원한다.
특히,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가구소득 중위 120% 이하인 예술인 1200여 명에게 1인당 100만원, 법인택시·마을버스·전세버스·공항버스 운수 종사자 1800여명에게는 1인당 50만원이 지원된다.
피해 지원 사각 업종 지원책으로는 집합 금지·집합제한에 동참한 업종 중에서 무등록 사업자 40곳(PC방, 실내체육시설 등)과 종교시설 중 건물을 임차한 시설 320곳에 50만원 상당의 방역물품을 전달할 계획이다. 또한, 관광·MICE 소상공인 180여곳에도 업체당 200만원이 지원되며, 마을버스 업체 3곳에도 1000만원씩 피해지원금을 지원한다.
코로나19에 대응하는 필수노동자 지원방안으로 노인 요양시설 종사자와 장애인복지시설 및 노숙인시설 종사자 총 1015명에게 1인당 20만원이 지원되며, 청소대행업체 환경미화원 122명에게는 20만원 상당의 방역물품이 지원된다.
김수영 구청장은 “정부지원금에서 소외된 사각지대를 보듬는 이번 재난지원금을 신속하게 집행해 코로나19라는 어려움을 함께 이겨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