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생활방역 전환 논의 착수··· "방심땐 위기" 사회적 거리두기는 유지

    코로나19 / 이대우 기자 / 2020-04-13 14:36:15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관련, 언제든지 재확산 할 수 있으니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며 지속적인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전날 신규 확진자는 25명으로 다행히 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한 주를 시작하게 됐다"며 "그러나 지난 주말 부활절 종교행사나 총선 등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일주일간 확진자 추이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우리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느슨히 한다면 그 결과는 며칠 뒤, 몇 주 뒤에 우리가 감당하기 어려운 결과로 돌아올 수 있다”며 “코로나19의 확산을 성공적으로 지연시키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코로나19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월 하루 발생 확진자가 한 자릿수를 유지하다가 31번째 환자 발생 이후 하루 만에 20명, 그 뒤로 열흘 만에 800명을 기록했던 경험을 떠올린다면 한순간의 방심이 얼마나 큰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며 “우리가 방심한 틈을 타 언제든 다시 확산할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점을 기억해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일일 확진자가 20∼30명 선을 유지하게 되자, 일상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 전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일일 확진자가 50명 미만으로 유지되고, 감염경로 미확인 신규 확진 사례가 5% 미만으로 유지되는 등 국내 의료·방역체계가 충분히 감당할만한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나오면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생활방역 전환에 대비해 전날 ▲아프면 3∼4일 집에서 쉬기 ▲사람과 사람 사이는 두 팔 간격 ▲한주 한 번 소독, 아침저녁 환기 등 생활방역 핵심수칙 5가지와 세부수칙을 공개하고 여론 수렴에 들어갔다.

    김 총괄조정관은 “국민 아이디어까지 모아 실천력 있고 실행 가능한 방안을 채택하겠다”며 “오늘부터 정부 당국자들도 생활방역 전환을 위해 사회 각 부문이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논의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생활방역 수칙이 한꺼번에 완성된 형태로 제시되지 못할 수도 있다”며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영역부터 먼저 시작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김 총괄조정관은 생활방역 전환 조건에 대해서는 “정부가 제시했던 일일 확진자와 감염경로 미확인 규모 등이 필요조건이 될 것이고, 그 외에도 지역별 환자 분포, 치료받고 있는 환자 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