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수상 레저스포츠 블롭점프를 하다가 사망 사고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업체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인정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1부(주심 김선수 대법관)는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수상레저 업체 운영자 A씨의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강원도 춘천시에서 수상 레저사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2017년 6월10일 오후 6시36분께 B(당시 54세)씨 등 4명에게 블롭점프 놀이기구를 이용하도록 했다.
블롭점프는 공기의 이동을 이용해 널뛰기와 비슷한 원리로 날아올라 물속으로 자유 낙하하는 신종 수상 레저스포츠다.
당시 2층 점프대에서 뛰어내린 B씨는 물에 빠진 뒤 그대로 바지선 밑으로 들어가 완전히 물속에 잠겼으며, 이후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같은날 오후 7시49분께 사망했다.
부검 결과, B씨가 평소에 앓던 허혈성 심장질환(급성심근경색 포함)이 사인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조사됐다.
정신을 잃은 상태에서 물을 흡입함으로써 익사의 기전(메커니즘)이 작용했을 수 있다는 내용도 부검 결과에 포함됐다.
검찰은 물에 빠진 이용자가 바지선 밑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A씨가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업무상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한 과실이 있다고 보고 A씨를 기소했다.
그러나 1심은 "사인을 익사로 단정하기 어려웠고, 심장이 비대해진 점 등으로 볼 때 피해자가 평소 지니고 있던 허혈성 심장질환이 사인일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열린 2심 재판도 원심의 판단이 맞다고 봤다.
대법원 역시 "범죄의 증명이 없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단에는 업무상과실치사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 등이 없다"고 판단했다.
다만, 대법은 1·2심과 같이 A씨가 수상 레저사업자 등록 사항을 변경하지 않고 블롭점프를 설치해 운영한 혐의(수상레저안전법 위반)만 유죄로 인정, 벌금 300만원을 확정했다.
대법원 1부(주심 김선수 대법관)는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수상레저 업체 운영자 A씨의 상고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강원도 춘천시에서 수상 레저사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2017년 6월10일 오후 6시36분께 B(당시 54세)씨 등 4명에게 블롭점프 놀이기구를 이용하도록 했다.
블롭점프는 공기의 이동을 이용해 널뛰기와 비슷한 원리로 날아올라 물속으로 자유 낙하하는 신종 수상 레저스포츠다.
당시 2층 점프대에서 뛰어내린 B씨는 물에 빠진 뒤 그대로 바지선 밑으로 들어가 완전히 물속에 잠겼으며, 이후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같은날 오후 7시49분께 사망했다.
부검 결과, B씨가 평소에 앓던 허혈성 심장질환(급성심근경색 포함)이 사인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조사됐다.
정신을 잃은 상태에서 물을 흡입함으로써 익사의 기전(메커니즘)이 작용했을 수 있다는 내용도 부검 결과에 포함됐다.
검찰은 물에 빠진 이용자가 바지선 밑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A씨가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업무상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한 과실이 있다고 보고 A씨를 기소했다.
그러나 1심은 "사인을 익사로 단정하기 어려웠고, 심장이 비대해진 점 등으로 볼 때 피해자가 평소 지니고 있던 허혈성 심장질환이 사인일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열린 2심 재판도 원심의 판단이 맞다고 봤다.
대법원 역시 "범죄의 증명이 없다고 보아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단에는 업무상과실치사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 등이 없다"고 판단했다.
다만, 대법은 1·2심과 같이 A씨가 수상 레저사업자 등록 사항을 변경하지 않고 블롭점프를 설치해 운영한 혐의(수상레저안전법 위반)만 유죄로 인정, 벌금 300만원을 확정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