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포럼과 신안미래포럼 등 10여 개의 목포·신안권 시민단체들은 11일(목) 오후 2시에 목포시의회 회의실에서, 목포시와 신안군을 향하여 한국 섬 진흥원(이하 섬진흥원) 유치 신청서 단일안 마련을 촉구하는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먼저 성명서는 섬진흥원 유치야말로 목포·신안권이 ‘섬의 수도’의 미래 비전을 실현해 가는 출발점임을 강조했다. 섬진흥원 유치를 기점으로 다양한 국내외 섬 관련 기구들을 유치하여 ‘섬 클러스터’를 조성함으로써, 목포·신안권이 ‘해양의 수도’를 자부하는 부산권과 더불어 동서 양축을 형성하여 국가 균형발전을 힘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 그 골자이다.
이어 성명서는 목포·신안권은 우리나라 섬의 절대 다수가 집중되어 있는 세계적 다도해 해역일 뿐만 아니라 섬진흥원 설립의 발상지이며 섬정책 추진과 확산의 최적지임을 강조하면서, 그럼에도 3월 8일 목포시와 신안군이 유치 신청서를 따로 제출하여 타 시군에게 어부지리의 빌미를 주고 있음을 심히 우려했다.
마지막으로 성명서는 목포시와 신안군은 역사공동체이며 생활공동체임을 명심하고 늦어도 유치 심사와 현지 실사가 이루어지기 전에 단일 신청안을 도출함으로써 시군민이 염원하는 섬진흥원을 반드시 유치하는데 합심 협력할 것을 촉구하였다. 그리고 “만에 하나 분열로 인해 섬진흥원의 유치에 실패할 경우, 그 책임은 전적으로 목포시와 신안군에 있음을 엄중히 밝힌다.”고 마무리 했다.
전남시민연대 신대운 대표는 “최고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설립 운동과 법제화를 주도해온 목포·신안권이 분열로 인해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섬진흥원의 유치에 실패한다면 돌이킬 수 없는 역사의 죄인이 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밝혔다.
섬진흥원은 우리나라 섬정책의 컨트롤타워에 해당하는 국가기관으로, 이미 2012년부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을 중심으로 목포·신안권에서 설립 운동이 추진되었고, 2018년 총리실(당시 이낙연 총리)에서 설립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작년 12월에 김원이, 서삼석 의원이 대표 발의하여 설립을 위한 법제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에 의거 행정안전부는 오는 8월 개원을 목표로 설립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지난 3월 8일까지 5개 시도 9개 시군이 신청서를 제출하여 치열한 유치 경쟁에 들어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