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최근 목욕탕·사우나를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는 상황에서 봄철을 맞아 백화점·유원지 등 다중이용시설 방문객이 늘어나는 등 ‘일상 감염’의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17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1주간 하루 평균 445명꼴로 신규 확진자가 나온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427명이다.
이에 정부는 확진자가 집중된 수도권의 확산세를 꺾겠다는 목표하에 향후 2주간을 ‘수도권 특별방역대책 기간’으로 정했다.
이에 따라 다중이용시설과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방역 조치를 한층 강화한다.
최근 유행 상황을 살펴보면, 울산·경남지역에서는 목욕탕과 사우나를 고리로 한 집단발병이 확산하고 있다.
경남 진주시 목욕탕 2번 사례(누적 177명), 경남 진주시 회사·목욕탕 3번 사례(13명), 울산시 목욕탕(53명)과 관련해서만 총 229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의심 증상을 보였던 지표환자(첫 확진자)들이 계속해서 목욕탕을 방문하는 과정에서 시설 종사자와 다른 이용객에게 ‘n차 감염’이 일어났고, 이후 이들의 가족과 동료를 거쳐 직장·학원·어린이집·다중이용시설로 급속도로 확산됐다.
수도권에서도 유증상자가 사업장이나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면서 발생한 집단감염 건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3월의 경우 유증상자가 이들 시설을 방문한 뒤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감염 관련 확진 사례가 23.1%(3606명 중 834명)에 달했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잠정 계산으로는 유증상자의 다중이용시설 출입을 억제하는 것만으로도 집단발생의 23% 이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봄철 나들이객 등의 이동량이 급증에 따라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인파가 몰리기 시작해 재확산 위험을 키우고 있다.
일례로 최근 개장한 서울 영등포구 소재 백화점 ‘더현대서울’의 경우 연일 방문객이 대거 몰려 논란이 된데다 직원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바 있다.
정부는 일단 현행 거리두기 조치에 더해 수도권 특별방역대책을 통해 확산세를 억제할 방침이다.
인구 밀집도가 높고 전체 신규 확진자의 70%가량을 차지하는 수도권을 집중적으로 관리해 2주 내로 일평균 확진자 수를 200명대로 억제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봄철 시민들이 몰리는 공원·유원시설과 백화점·쇼핑몰, 도매·소매시장 가운데 밀집시설 30곳을 지정해 오는 31일까지 집중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최근 집단감염이 빈발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방역 관리도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 이행 행정명령을 내렸고, 경기도는 사전 진단검사를 통해 음성으로 확인된 외국인 근로자만 채용하기로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