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국내 코로나19가 재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18일 신규 확진자 수가 전날에 이어 600명대로 집계됐다.
연속으로 600명대로 나온 것은 지난 1월 초순(1월8∼10일, 각 674명, 641명, 657명) 이후 한 달여만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날가 같은 621명 늘어 누적 8만5567명이라고 밝혔다.
2020년 11월 중순부터 본격화한 국내 '3차 대유행'은 정점(12월25일·1240명)을 찍은 후 서서히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으나, 최근 크고 작은 감염이 잇따르면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지난 설 연휴(2월11일∼14일)에는 검사 건수가 평일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확진자 수가 300명대 초반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400명대를 거쳐 600명대까지 빠르게 증가했다.
최근 1주일(2월12일∼18일)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403명→362명→326명→343명→457명→621명→621명을 나타냈다. 이 기간 300명대가 3번, 400명대가 2번, 600명대가 2번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590명, 해외유입이 31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서울 179명, 경기 237명, 인천 16명 등 수도권이 432명으로 전날(415명)보다 17명 늘어나며 400명대를 유지했다.
이는 지난 1월8일(452명) 이후 41일 만에 최다 수치다.
비수도권은 부산·충남 각 28명, 경북 22명, 충북 16명, 광주·대전 각 12명, 대구 9명, 경남 7명, 울산 6명, 전북·제주 각 5명, 전남 4명, 강원 3명, 세종 1명 등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진관산업단지 내 플라스틱 제조공장에서는 캄보디아 출신 근로자 1명이 확진된 이후 전날 오후까지 총 115명이 무더기로 감염됐다.
또한 충남 아산 귀뚜라미보일러 공장과 관련해서는 현재까지 129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가운데 직원들과 접촉한 가족·지인 등을 중심으로 한 'n차 감염'이 산발적으로 이어지고 있어 확산세 차단에 비상이 걸렸다.
이 밖에 주요 대학병원인 서울 용산구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성동구 한양대병원에서도 확진자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아울러 해외유입 확진자 가운데 12명은 공항이나 항만 입국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19명은 서울(6명), 경기·광주(각 4명), 인천·강원·충북·전북·경북(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서울 185명, 경기 241명, 인천 17명 등 수도권이 443명이다. 전국적으로는 17개 시도 모두 확진자가 새로 나왔다.
한편, 사망자는 전날보다 6명 늘어 누적 1544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80%다.
연속으로 600명대로 나온 것은 지난 1월 초순(1월8∼10일, 각 674명, 641명, 657명) 이후 한 달여만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날가 같은 621명 늘어 누적 8만5567명이라고 밝혔다.
2020년 11월 중순부터 본격화한 국내 '3차 대유행'은 정점(12월25일·1240명)을 찍은 후 서서히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으나, 최근 크고 작은 감염이 잇따르면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지난 설 연휴(2월11일∼14일)에는 검사 건수가 평일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확진자 수가 300명대 초반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400명대를 거쳐 600명대까지 빠르게 증가했다.
최근 1주일(2월12일∼18일)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403명→362명→326명→343명→457명→621명→621명을 나타냈다. 이 기간 300명대가 3번, 400명대가 2번, 600명대가 2번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590명, 해외유입이 31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서울 179명, 경기 237명, 인천 16명 등 수도권이 432명으로 전날(415명)보다 17명 늘어나며 400명대를 유지했다.
이는 지난 1월8일(452명) 이후 41일 만에 최다 수치다.
비수도권은 부산·충남 각 28명, 경북 22명, 충북 16명, 광주·대전 각 12명, 대구 9명, 경남 7명, 울산 6명, 전북·제주 각 5명, 전남 4명, 강원 3명, 세종 1명 등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진관산업단지 내 플라스틱 제조공장에서는 캄보디아 출신 근로자 1명이 확진된 이후 전날 오후까지 총 115명이 무더기로 감염됐다.
또한 충남 아산 귀뚜라미보일러 공장과 관련해서는 현재까지 129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가운데 직원들과 접촉한 가족·지인 등을 중심으로 한 'n차 감염'이 산발적으로 이어지고 있어 확산세 차단에 비상이 걸렸다.
이 밖에 주요 대학병원인 서울 용산구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성동구 한양대병원에서도 확진자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아울러 해외유입 확진자 가운데 12명은 공항이나 항만 입국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19명은 서울(6명), 경기·광주(각 4명), 인천·강원·충북·전북·경북(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서울 185명, 경기 241명, 인천 17명 등 수도권이 443명이다. 전국적으로는 17개 시도 모두 확진자가 새로 나왔다.
한편, 사망자는 전날보다 6명 늘어 누적 1544명이 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80%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