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최근 유명 탈북작가가 한 탈북 여성을 성폭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국내 ‘탈북민 커뮤니티’의 분위기가 피해자들의 고통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사무소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전수미 변호사는 최근 이 같은 문제와 관련해 “탈북민 커뮤니티는 남한 안의 또 다른 북한”이라고 꼬집어 비판했다.
전 변호사는 26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외국에 있는 우리 한인사회를 보면 한인 커뮤니티 안에서 영어를 한마디도 하지 않고 그 안에서 결혼, 취업 등 모든 일상생활이 다 이뤄지는데 그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언어의 차이, 사회문화적인 차이, 체제의 차이들이 너무나 많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분들이 같은 한민족이라고 하지만 (우리나라는)외국인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북한내에서의 권력 차이가 탈북 후 국내에서도 존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북한에서 출신 성분이 좋으신 분들이 있는데 평양시민, 특정 당 간부라고 하면 일반 시민들과 본인과 같은 탈북민으로 묶이는 걸 불쾌해하시는 분들이 계신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분 자체를 그대로 가져오고 남한 안의 북한이기 때문에 북한의 계층 구조를 그대로 가져와서 하나의 권력을 가졌던 사람이 여기서 또 권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라며 “또 인권유린, 아니면 언론에 나와서 유명해졌던 사람들도 또 하나의 새로운 권력을 얻어서 피라미드의 최상류층, 탈북민들 커뮤니티 안에서 최상류층에 존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에서도 권력형 성범죄가 존재하고 권력을 가진 사람에 대해 두려워하는 게 많아서 남한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고발을 못했던 이유들이 북한에서의 그런 사회문화적 가치적 배경 때문”이라며 “북한 특유의 가부장적 문화나 권위적인 문화, 그리고 남성이 더 상위에 있다는 기본적인 개념 때문에 감히 부당한 일을 당해도 (피해 여성들이)반항을 하거나 문제제기를 할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