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법무부가 한국에 입국 후 격리비용을 이유로 격리시설 입소를 거부한 30대 대만인을 강제 출국 조치했다.
6일 법무부에 따르면 법무부는 격리에 드는 비용을 납부할 수 없다며 시설 입소를 거부한 A씨를 전날 오후 7시45분 대만행 비행기로 출국시켰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 정부의 조치에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추방된 외국인은 A씨가 처음이다.
A씨는 지난 2일 인천공항으로 입국할 당시 시설 격리와 비용 납부에 동의했지만, 이튿날 배정된 격리시설에 도착한 뒤 비용을 납부할 수 없다는 의사를 밝혀 퇴소 조치됐다.
격리시설 입소에 드는 비용은 2주 기준으로 140만원 안팎으로, A씨는 관광 목적으로 입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부 관계자는 “비용 부담을 사유로 한 거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우리 정부의 격리 조치를 거부한 것으로 판단해 추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모든 입국자에 대해 2주간 자가격리를 의무화한 이달 1일부터 전날까지 격리 조치를 거부한 외국인은 모두 11명이다. 법무부는 이들 모두 입국을 거부했다.
이와 함께 법무부는 장소를 이탈하는 등 자가격리 조치를 위반한 외국인들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여 강제출국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법무부는 전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 군산출장소는 자가격리 장소에 휴대전화를 놓고 외출한 베트남 유학생 3명을 전날 오후 3시 소환해 3시간가량 조사했으며, 격리조치 위반 사례로 보도된 영국인 1명(수원시), 폴란드인 2명(용산구), 프랑스인 1명(마포구), 독일인 1명(부산시 금정구)에 대해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분석 중이다.
이들은 코로나19 확진자여서 완치돼 병원 격리가 해제된 이후 소환 조사를 받을 전망이다.
6일 법무부에 따르면 법무부는 격리에 드는 비용을 납부할 수 없다며 시설 입소를 거부한 A씨를 전날 오후 7시45분 대만행 비행기로 출국시켰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 정부의 조치에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추방된 외국인은 A씨가 처음이다.
A씨는 지난 2일 인천공항으로 입국할 당시 시설 격리와 비용 납부에 동의했지만, 이튿날 배정된 격리시설에 도착한 뒤 비용을 납부할 수 없다는 의사를 밝혀 퇴소 조치됐다.
격리시설 입소에 드는 비용은 2주 기준으로 140만원 안팎으로, A씨는 관광 목적으로 입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부 관계자는 “비용 부담을 사유로 한 거부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우리 정부의 격리 조치를 거부한 것으로 판단해 추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모든 입국자에 대해 2주간 자가격리를 의무화한 이달 1일부터 전날까지 격리 조치를 거부한 외국인은 모두 11명이다. 법무부는 이들 모두 입국을 거부했다.
이와 함께 법무부는 장소를 이탈하는 등 자가격리 조치를 위반한 외국인들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여 강제출국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법무부는 전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 군산출장소는 자가격리 장소에 휴대전화를 놓고 외출한 베트남 유학생 3명을 전날 오후 3시 소환해 3시간가량 조사했으며, 격리조치 위반 사례로 보도된 영국인 1명(수원시), 폴란드인 2명(용산구), 프랑스인 1명(마포구), 독일인 1명(부산시 금정구)에 대해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분석 중이다.
이들은 코로나19 확진자여서 완치돼 병원 격리가 해제된 이후 소환 조사를 받을 전망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