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전문가 등 7587명 나서 조사 완료
미비점 등 총 1083건 적발··· 안전사고 원천차단 총력
[광주=정찬남 기자] 광주광역시는 학동4구역 재개발 건물 붕괴사고, 풍영정천 수난 사고를 계기로 유사 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지난 6월14일부터 28일까지 안전점검 특별주간을 운영해 대대적인 현장점검과 함께 안전사고 방지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시는 안전점검 특별주간 동안 공사현장, 교통시설, 환경시설, 재난취약시설 등 1만4833곳에 대해 시, 자치구, 공사ㆍ공단, 민간전문가 등 7587명이 참여한 가운데 일제점검을 실시해 1083건의 미비점을 적발하고 이 가운데 경미한 사항은 현장 조치하고 중대한 사항은 보수ㆍ보강토록 했다.
철거공사 현장 등 공사현장 2624곳을 점검해 해체계획서 미준수, 해체신고 절차 미 이행, 철거 후 절토사면 안전조치 미흡 현장 등 7곳(기 중지 현장 2곳 포함)는 공사 중지시키고, 가설울타리 미흡 등 18곳은 현장에서 보완시정 조치했다.
재건축사업 철거 현장을 포함하고 있는 시내버스 정류소 2580곳을 전수 점검해 8곳을 임시정류소로 이전 조치하고, 어린이보호구역내 택시승차대 2곳의 이설도 검토 중에 있다.
또한 풍영정천내 징검다리(16곳) 안전표지판 및 진입 차단봉 설치, 근린공원내 붕괴옹벽 및 다리 주변 낙차공 복구 및 정비를 요청하는 한편, 지난 2020년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절개지, 급경사지 보강공사를 우기 전에 완료토록 했다.
또한 시민 긴급안전신고센터(시ㆍ구 재난상황실)에 신고 된 어린이통학로 인근 주택 구조물 붕괴위험 등 2841건을 접수해 1472건을 처리 완료하고 1369건은 타 업무에 우선해 신속히 처리 중이다.
시는 안전점검 결과 생활 속 전반에 안전 불감증이 만연해 있고, 안전위험요소 또한 상존해 있음이 확인됨에 따라 재발방지 대책과 안전관리 강화방안을 마련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계획이다.
건축물 해체공사 관련 업무지침 마련, 건축물관리법과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 건의, 해체허가 전 감리 지정, 소규모 건설공사 안전관리계획서의 안전전문기관 검토를 받도록 할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