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러나 전문가들은 발전하는 미래 드론 기술 만큼 ‘드론 테러’의 위험성 또한 커질 것으로 우려한다. 실제로 국가중요시설에 대하여 드론테러가 발생하면 사회에 치명적인 타격과 혼란을 야기할 수 있지만 지상을 통한 테러에 비해 드론테러 대비는 취약한 상태이다
2019년 9월14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세계 최대 석유 생산 시설 두 곳이 1000만원 짜리 드론에 의해 테러를 당하면서 전세계 수요량의 5%에 해당하는 원유가 감소했고 국제 유가가 요동치는 등의 혼란이 빚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9월25일 불법드론으로 인해 항공기 5대가 인천공항에 착륙하지 못하고 김포공항으로 회항하는 일이 벌어졌다.
앞으로 우리는 드론 테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드론 테러를 대비하기 위한 대표적인 드론방어체계 기술은 ‘안티 드론(Anti Drone)'인데, 안티 드론은 테러, 범죄, 사생활 감시 및 침입에 사용되는 불법 드론을 레이더와 인공지능(AI)을 통해 탐지·식별한 후 전파방해, 스푸핑(드론 신호를 모방해 강제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등을 가해 무력화 시키는 기술들을 일컫는다.
그러나 드론방어체계를 갖추고 있더라도 현재 테러방지법으로는 테러 목적이 확인되지 않으면 드론은 사적 재산으로 여겨져 격추보다 조종자를 찾을 수 밖에 없다. 또한 항공법에 따라 비행금지구역에서 드론을 띄운 조종자는 최대 이륙중량에 따라 25kg 초과 시 형사처벌, 25kg 이하는 과태료 처분을 받을 뿐이다.
드론 기술의 발전에 맞는 드론 방어체계 구축과 현시대적 배경에 맞는 법 제정에도 관심이 필요한 때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