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정찬남 기자] 농촌진흥청 공모사업인 아열대작물실증센터 선정에 탈락한 해남군에는 공모사업 선정에 불복하는 분위기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 박상정 해남군의회 의원 |
박상정 해남군의원은 지난 11일 농촌진흥청 공모사업인 아열대작물실증센터 장성군 선정을 두고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며 강한 의구심을 나타낸 가운데 이번 아열대작물실증센터 선정 의혹을 여러 경로를 통해 밝혀내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민주당 윤재갑 국회의원(해남완도진도)측 관계자는 15일 시민일보와 통화에서 “우리 해남군의 염원이었던 아열대 작물 실증센터 유치가 실패로 끝나 개인적으로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동 사업은 전라남도가 주체가 돼 추진한 사업인데 당초 기획한 의도대로 후보지가 선정이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만, “선정 평가가 합리적인 기준을 근거로 공정하게 진행되었는지 다양한 차원에서 검증할 계획이다.” 고 덧붙였다.
농촌진흥청 공모사업인 아열대작물실증센터는 국비 약 350억여 원을 투입해 아열대 작물의 체계적 연구를 위한 청사 신축과 실증·증식 포장 및 온실동·연구동 등 20㏊ 부지에 조성하는 국책사업이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는 지난 4월24~5월15일까지 전남도내 시군을 대상으로 아열대작물실증센터 유치 공모를 실시했다. 주요 평가 기준은 농업환경 적합성(기후변화시나리오: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 4.5,~8.5), 시설개발 용이성, 확산성. 편의성 등이다.
이 중 평가 배점(25점)이 가장 높은 농업환경 적합성 세부기준을 보면 제주도의 기후대(해안성)와 다른 내륙 지역으로서 아열대성 기후대로 빠르게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으로 한정했다.
박상정 해남군의원은 "기후변화시나리오(RCP 4.5,~8.5)를 전제로 본다면 이미 바나나를 비롯해 아열대 작물 재배가 진행 중인 해남군이 가장 적합·유리한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박 의원은 "제주도의 해안성 기후대로부터 다른 내륙지역을 명시했는데 해안으로부터 어디까지의 거리를 내륙이라고 하는지 불분명한 점도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자연재해 안전성(20점) 기준을 보면, 태풍, 폭염, 이상기온 등 자연재해 발생 및 피해가 적은 지역을 대상했지만 자연재해는 내륙지역이라고 해서 피해가 덜하다 말할 수 없으며, 자연재해와 아열대작물 재배와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데도 자연재해를 평가 영역에 둔다는 것은 특정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끼워 맞추기 식 선정방식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떨칠 수 없다." 며 기준의 모호성도 지적했다.
따라서 "두 개의 평가 기준이 전체 100점 중 45점을 차지해 해남군이 절대 불리한 입장이어서 공정한 평가라고 인정하기 어렵다. 아열대작물실증센터 선정은 재평가 선정 돼야 한다.” 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